보호 병동 정신 건강 평가를 위한 CCTV 기반 행동 지표 분석 시스템

본 연구는 환자의 일상적인 행동 지표를 활용하여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예측하는 비침습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환자의 이동 거리, 활동 반경, 혼자 있는 시간, 타인과의 접촉 시간 등 다양한 행동 지표를 추출하여 심리적 상태 변화, 우울증, 불안증 등의 정신적 문제를 감지하고자 한다. 특히, 행동 지표와 자살 위험 및 행동 평가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행동 지표가 정신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중요한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행동 지표 추출을 위해 객체식별과 추적을 기반으로 한 영상 분석 기법과 조감도 방식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9; no. 12; pp. 87 - 98
Main Authors 김희철(Hee-Cheol Kim), 이강희(Kang-Hee Lee), 이유락(Yourack Lee), 정현강(Hyun-Ghang Jeong), 최현수(Hyun-Soo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4.29.12.0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환자의 일상적인 행동 지표를 활용하여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예측하는 비침습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환자의 이동 거리, 활동 반경, 혼자 있는 시간, 타인과의 접촉 시간 등 다양한 행동 지표를 추출하여 심리적 상태 변화, 우울증, 불안증 등의 정신적 문제를 감지하고자 한다. 특히, 행동 지표와 자살 위험 및 행동 평가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행동 지표가 정신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중요한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행동 지표 추출을 위해 객체식별과 추적을 기반으로 한 영상 분석 기법과 조감도 방식을 적용하여 여러 카메라 시점에서 일관된 추적과 위치 정보를 확보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활동 반경, 혼자 있는 시간, 야간 이동 거리 등의 행동 지표가 자살 위험 및 행동 평가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환자의정신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시스템은 환자의 일상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일 행동 지표를 수집하여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정기적인 환자 관리 및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s a non-invasive system that collects patients' daily behavioral indicators to evaluate and predict mental health status. By extracting indicators such as travel distance, activity radius, time spent alone, and duration of contact with others, the system aims to detect changes in psychological state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e risk. To collect these behavioral indicators, the system utilizes objec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based on the Bird’s Eye View method to ensure consistent tracking and obtain location information across multiple camera perspectives. Based on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we generated behavioral indicators and analyzed their correlations with suicide risk and mental health measures. Our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behavioral indicators and mental health measures. This indicates that behavioral indicators can objectively assess patients' mental health status. By enabling the evaluation of patients' mental health through this system, we expect to contribute to regular patient management and improvements in mental health care.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4.29.12.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