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관물에서 분리한 비브리오균의 병원성 유전자 분포 및 항생제 내성 특성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수온이 증가하는 5월에서 9 월 사이에 서울 강북지역 소재 전통시장에서 사용되는 수족관물333건을 대상으로 병원성 비브리오균(비브리오콜레라균, 비브리오패혈증균, 장염비브리오균)과 위생 지표세균인 세균수와 대장균군을 검사하여 월별 검출율과 기온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으며, 분리된 비브리오균의 병원성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전체 43건이 검출되었고, 이 가운데장염비브리오균은 38건(11.4%), 비브리오패혈증균은 5건(1.5%)이었으며 비브리오콜레라균은 검출되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6; no. 3; pp. 403 - 410
Main Authors 박소현(Sohyeon Park), 장현정(Hyeonjeong Jang), 박상훈(Sanghun Park), 신영(Yeong Shin), 김지혜(Jihye Kim), 차재훈(Jaehun Cha), 김인언(Ineon Kim), 윤은선(Eunseon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수온이 증가하는 5월에서 9 월 사이에 서울 강북지역 소재 전통시장에서 사용되는 수족관물333건을 대상으로 병원성 비브리오균(비브리오콜레라균, 비브리오패혈증균, 장염비브리오균)과 위생 지표세균인 세균수와 대장균군을 검사하여 월별 검출율과 기온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으며, 분리된 비브리오균의 병원성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전체 43건이 검출되었고, 이 가운데장염비브리오균은 38건(11.4%), 비브리오패혈증균은 5건(1.5%)이었으며 비브리오콜레라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세균수는 모두 수족관물 기준치인 1mL당 100,000 이하였고, 대장균군은 19건(5.7%) 에서 기준치인 1,000 이하/100 mL를 초과하였으며, 이들 위생지표균은 비브리오균과 뚜렷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비브리오균검출율은 여름철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였고 장염비브리오균는 8월, 비브리오패혈증균은 9월에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반면 최저 기온이 15oC 이하인 경우에는 비브리오균이 모두 검출되지 않아 수족관물 온도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유전자 분석결과 장염비브리오균의 종특이성 유전자인 tlh와toxR은 38건에서 100% 검출되었으나, 병원성 유전자인 tdh와 trh 는 trh에서만 1건(2.6%)이 검출되었다. 반면 비브리오패혈증균의병원성 유전자는 vvhA, glnA, rtxA, viuB, vcgC, fur, pilA, wza 중 vvhA, glnA, rtxA, fur, wza, viuB에서 모두 100% 검출되었고 vcgC 는 4건(80%), pilA는 1건(20%)에서 검출되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결과 분리된 38건의 장염비브리오균은 cefazolin (100%)과ampicillin (92.1%)에 내성을 나타냈고, cefoxitin (50%)에 중등도 내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5건의 비브리오패혈증균은 cefazloin과cefoxitin에 모두 100%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두 균주 모두 2 종류 이상의 항생제에 다제 내성을 보였다. 최근 항생제 오남용과 동물용의약품 사용의 증가로 인해 항생제 내성균은 증가 추세이므로, 본 연구결과는 올바른 수족관물 관리 및 식중독 감염 예방과 치료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irulence genes and antibiotic resistance among Vibrio strains in aquarium water in Seoul and to enumerate bacteria and coliforms. Bacterial counts were within acceptable limits in 333 tested samples, whereas coliforms exceeded the standard in 19 (5.7%) samples. 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were detected in 38 (11.4%) and five (1.5%) samples, respectively. PCR analysis of 38 V. parahaemolyticus strains revealed the presence of tlh and toxR genes; trh was detected in one (2.6%) strain, whereas tdh was undetected. Among the V. vulnificus isolates, vcgC was found in four (80%) strains, and pilA in one (20%) strain, whereas vvhA, glnA, rtxA, viuB, fur, and wza were detected in all strains. All V. parahaemolyticus strains (100%) were resistant to cefazolin, and 35 (92.1%)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All V. vulnificus strains (100%) were resistant to cefazolin and cefoxitin.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management of aquarium water. KCI Citation Count: 0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24.56.3.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