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질 종합모니터링을 위한 멀티센서 시스템 설계
본 연구는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공기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다중 센서 시스템인 AirDeep-Room 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CO2, TVOC, 미세먼지, 온도, 습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멀티 센서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공기질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AirDeep-Room 시스템은 low data 형식으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 환경에서의 공기질에 대한분석을 진행하였다. 설계한 센서 시스템을 상이한 환경인 서버실과 강의실에 설치해 실험을 수행한결과, 서버실에서의 온...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9; no. 7; pp. 149 - 15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7.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4.29.07.14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공기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다중 센서 시스템인 AirDeep-Room 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CO2, TVOC, 미세먼지, 온도, 습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멀티 센서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공기질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AirDeep-Room 시스템은 low data 형식으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 환경에서의 공기질에 대한분석을 진행하였다. 설계한 센서 시스템을 상이한 환경인 서버실과 강의실에 설치해 실험을 수행한결과, 서버실에서의 온도와 습도는 –0.24의 음의 상관관계를, 강의실에서는 0.43의 양의 상관관계를보였다. 강의실에서의 실험 결과는 학생 수와 CO2 및 TVOC 농도가 r=0.69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생 수가 실내 공기질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AirDeep-Room 시스템이 다양한 환경에서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인구 밀도가 높은 공간에서 공기질 개선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develop AirDeep-Room, a multi-sensor system for monitoring air quality in various indoor environments. The system measures CO2, TVOC, particulate matte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real-time. By integrating multiple sensors, AirDeep-Room allows convenient correlation analysis using low data format in real-time. The sensor system was installed in a server room and a classroom.
Data analysi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of -0.24 betwee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server room, and a positive correlation of 0.43 in the classroom, indicating different interactions. A high correlation (r=0.69) between the number of students and concentrations of CO2 and TVOC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impact of occupancy on air quality. AirDeep-Room effectively manages air quality across various environments and provides essential data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densely populated area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4.29.07.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