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과육 키위프루트에서 식물생장조정제 살포에 의한 과실 생장 및 품질의 반응
본 연구는 식물추출물인 생장조정제(Benefits®PZ) 살포 횟수에 따른 키위프루트 과실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제주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황색과육의 국내육성 키위프루트 품종인 ’스위트골드’와 ‘제시골드’를대상으로 하여, 식물생장조정제 살포 처리 1회, 2회 및 3회와 무처리(대조구)에 대해 비교하였다. 두 품종 모두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실 종경, 횡경 및 과중이 증가하여 과실 크기가 커졌고, 건물률, 과육 색도(hue) 등 품질 요인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크기의 증가는 주로 과...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42; no. 2; pp. 234 - 24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04.2024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식물추출물인 생장조정제(Benefits®PZ) 살포 횟수에 따른 키위프루트 과실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제주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황색과육의 국내육성 키위프루트 품종인 ’스위트골드’와 ‘제시골드’를대상으로 하여, 식물생장조정제 살포 처리 1회, 2회 및 3회와 무처리(대조구)에 대해 비교하였다. 두 품종 모두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실 종경, 횡경 및 과중이 증가하여 과실 크기가 커졌고, 건물률, 과육 색도(hue) 등 품질 요인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크기의 증가는 주로 과심과 과피 바깥 조직의 크기 증가와 관계되며, 과심에서는 세포 수 및 크기 증가와 관계되나, 과피 바깥 조직에서는 소세포의 수적 증가 및 대세포의 크기 증가와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생장조정제의 처리에 의한 상온저장에서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해 과육의 황색발현이 높은 경향을보였다. 전분 함량에 있어서 최고치에 이르는 만개 후 150일까지는 두 품종 모두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 처리 간에함량 차이를 보이기 시작한 후 계속 증가하였다. 가용성 당의 함량은 만개 후 120일에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만개170–180일 경에는 처리간 함량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으나, 처리에 따른 품종간 반응이 일정하지 않았다.본 연구 결과 식물추출물인 식물생장조정제 살포가 과실의 세포 수와 크기에 영향하여 과실 생장을 증가시켰으며, 다른 품질 요인의 저하 영향은 없었다. 전분 함량 및 가용성 당 함량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는 품종간 반응이 달랐으며,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pray applications of a plant extract (Benefits®PZ)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kiwifruit. Single, double, and triple spray applications from two weeks to four weeks after anthesis were compared with a control to test ‘Sweet Gold’ and ‘Jecy Gold’ which are major varieties with yellow-flesh grown on Jeju Island. In both cultivars, as the number of spray applications was increased, the fruit size increased, as did the fruit length, diameter, and fruit weight, with deterioration of fruit quality parameters such as the dry matter and flesh color not observed. The increased fruit size was associated mainly with the enlargement of the fruit core and outer pericarp tissues, which in tur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both the cell number and size of fruit core tissue, but also with increases in the number of small cells and the sizes of the large cells from the outer pericarp tissue. There was little effect of the plant growth regulator spray treatments on the fruit quality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and yellow-flesh coloration tended to be even higher in the treated than in the untreated case. The starch contents were not affected by plant growth regulator spraying at 150 days after full bloom (DAF), at which starch accumulation was maximized, in both cultivars. However, As the treatment period prolonged, differences began to emerge and continued to widen over time. The content of soluble sugars began to increase rapidly at 120 days DAF and showed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around 170–180 DAF, but the tendency of those responses was not distinct depending on cultivars.
Consequently, the findings here indicated that the plant extract (Benefits®PZ) spray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fruit size and affected the cell number and size, with no detrimental side-effects on the fruit quality. The response of starch and soluble sugars content to spraying differed between the two cultivars, and no distinct tendency was observ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40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