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밖 청소년의 원격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PERMAH 웰빙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원격교육 경험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이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원격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만 14세 이상 18세 이하의 학교 밖 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습을 지속하기 위해 원격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며,K-MOOC, 서울런, 학교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원격교육 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교육은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자율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긍정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평생학습사회 Vol. 20; no. 3; pp. 27 - 53
Main Author 추영선(Youngsun Ch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08.2024
미래원격교육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24.8.20.3.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원격교육 경험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이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원격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만 14세 이상 18세 이하의 학교 밖 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습을 지속하기 위해 원격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며,K-MOOC, 서울런, 학교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원격교육 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교육은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자율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감정과 학습 몰입을 경험하게 하고, 흥미기반학습을 통해 삶의 의미를 탐구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원격교육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한계가 있었으며 자율적인 학습기회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웰빙을 증진하기 위한 원격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the remote educationexperienced by out-of-school youth (youth) and to explore its effects onwell-being. Accordingl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five suchyouth aged 14 to 18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remote education. Theresults revealed that they regard remote education as important to continuelearning and are experiencing various remote education courses provided byK-MOOC, Seoul Run, and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Remote educationprovided autonomous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erience positiveemotions and immersion in learning. Such education also enabled them to explorethe meaning of life through interest-based learning. However, remote educationhad a limitation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 and allowed them to experiencenegative emotions due to autonomous learn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earch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such education to promote well-being. KCI Citation Count: 0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24.8.2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