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의 AI 에이전트 설계

현재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문화・예술분야에서도 다양한 시도들이 이뤄지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활용하여 시나리오 기반의 대화형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문화・예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연구한다. 문화・예술 분야에 적용되는 만큼 사용자를 위한 ‘경험 확장’을 중점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 AI 에이전트의 대화 구성에 있어 ‘페르소나’와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연구한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5; pp. 1021 - 1028
Main Authors 이도경(Do-Kyoung Lee), 이기훈(Ki-H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5.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5.10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현재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문화・예술분야에서도 다양한 시도들이 이뤄지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활용하여 시나리오 기반의 대화형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문화・예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연구한다. 문화・예술 분야에 적용되는 만큼 사용자를 위한 ‘경험 확장’을 중점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 AI 에이전트의 대화 구성에 있어 ‘페르소나’와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연구한다. 에이전트는 실제 역사적 인물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선정했으며, 여러 문헌 자료 내용을 토대로 페르소나를 우울하게 설정한다. 이것은 기존의 미술관과 박물관에서 상용화되던 친절한 에이전트와 차별점이 된다. 또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해 게이미피케이션을 접목시켜 대화가 구성되며 작품에 대한 단계별 퀴즈를 내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작품이 추천된다. 본 연구는 AI 에이전트가 예술 콘텐츠에 접목되었을 때 기술적 가능성과 확장성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그러한 환경에 속한 문화예술 기관에서 사용자를 위한 실질적인 콘텐츠 적용 연구를 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currently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ulture and arts. This study designed a scenario-based conversational agent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and examined its applic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contents with an emphasis on experience expansion for users and investigated the conversation composition of the AI agent based on the elements of persona and gamification. The agent was Leonardo da Vinci, and its persona was set to be melancholic based on the extant literature. This differed from the friendly agents commonly used in art museums and galleries. Furthermore, to enhance interaction with users, the conversation was structured by incorporating gamification, which includes quizzes about the work in each step, and recommendations for the work as a reward for answering the quizzes. This study focused on the technical feasibility and scalability of integrating AI agents into artistic content and emphasiz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environment for users in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KCI Citation Count: 3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3.24.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