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과정 탐색 ‐ 근거이론적 분석

이 연구는 미래 목회의 주역인 신학생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춰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미디어트랙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근거이론분석 방법을 적용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학교 미디어수업과 실습이 중심현상으로 나타났으며, 신대원 진학과 새로운 진로를 탐색하는 경우가 인과적 조건으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이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했다. 실습실 부재 등 교육 지원에 대한 아쉬움이 중재적 조건으로 나타났고, 수업 외 학교 활동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angsin nondan Vol. 56; no. 4; pp. 313 - 337
Main Author 조수진(CHO Soo-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01.12.2024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390
2713-7554
DOI10.15757/kpjt.2024.56.4.0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미래 목회의 주역인 신학생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춰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미디어트랙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근거이론분석 방법을 적용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학교 미디어수업과 실습이 중심현상으로 나타났으며, 신대원 진학과 새로운 진로를 탐색하는 경우가 인과적 조건으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이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했다. 실습실 부재 등 교육 지원에 대한 아쉬움이 중재적 조건으로 나타났고, 수업 외 학교 활동으로 미디어 교육에 적극 참여하거나 개인 채널, 교회 채널 참여로 적극 소통하는 작용과 상호작용의 모습을 보였다. 학생들은 학교 내 미디어교육과 실습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게 됐으며, 신학생들에게 필요한 과정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신학생들의 미디어 역량개발을 위한 과정을 근거이론적 접근으로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신학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해 분석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seminary students—future church leaders—develop their media literacy skills. Focusing on media track students at Presbyterian University, the research uses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of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The study identified media classes and hands-on experiences as core elements, driven by students’ pursuit of seminary admission and career goals. The fast-changing media landscape provided context, while limited educational resources— especially the lack of practical facilities—posed challenges. Students built their media literacy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involvement in both personal and church communications. These experiences led students to recognize media literacy as vital to seminary edu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by mapping out how seminary students develop media competency and examin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eminaries—an area not previously studied—while noting its limitations and offer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1390
2713-7554
DOI:10.15757/kpjt.2024.56.4.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