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 마삭줄의 유년성 기간 구명과 성년화에 따른 잎 및 줄기의 형태 변화

본 연구는 자생마삭줄(Trachelospermum jasminoides)의 잎과 줄기의 형태적 변화를 통해 상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고, 상변화시까지 유년성지속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년성 지속 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실에서재배시험을 한 결과 파종 후 5년째 가을에 50% 개체의 줄기에서 감는 굴성이 나타났고, 6년째인 이듬해 5월에 성년형 잎이 출현하며 33% 개체가 개화하였다. 따라서 자생 마삭줄이 개화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5년의 유년기간이 필요한 결과를 국내에서처음 구명하였다. 상변환 전, 후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Vol. 40; no. 6; pp. 614 - 629
Main Authors 문영현(Young Hyun Moon), 박권우(Kuen Woo Park), 이온유(O New Lee), 최담희(Dam Hee Choi), 최인이(In-Lee Choi), 강호민(Ho-Min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HST 01.12.2022
한국원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763
2465-858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자생마삭줄(Trachelospermum jasminoides)의 잎과 줄기의 형태적 변화를 통해 상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고, 상변화시까지 유년성지속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년성 지속 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실에서재배시험을 한 결과 파종 후 5년째 가을에 50% 개체의 줄기에서 감는 굴성이 나타났고, 6년째인 이듬해 5월에 성년형 잎이 출현하며 33% 개체가 개화하였다. 따라서 자생 마삭줄이 개화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5년의 유년기간이 필요한 결과를 국내에서처음 구명하였다. 상변환 전, 후의 잎과 줄기의 형태 변화를 구명하기 위해 국내 13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엽형지수는대부분(10지역)지역에서 유년잎의 지수가 성년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년형 잎은 피침형으로 유백색 엽맥 무늬가 뚜렷하였으나 성년형 잎은 장타원형으로 엽맥 무늬가 뚜렷하지 않은 형태적 변화를 보였다. 엽면적은 전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성년형이 크게 나타났으며 엽두께는 성년형 잎이 유년형 잎보다 두꺼웠으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자생 마삭줄은 줄기의 감는 굴성 여부, 엽맥무늬 여부, 엽의 상대적 크기, 엽형지수 등을 통해 유년상과 성년상을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식별 방법은 자생마삭줄의 유년상과 성숙상을 판별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분석 및 주성분 분석 결과채취 지역별로 군집화되지 않았으며, 마삭줄 유년기와 성년기 잎의 형태 요소가 유사하였다. 또한 제1주성분 중 가장 높은 기여율을 보인 엽면적이 자생 마삭줄의 성년상을 구분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 index of phase changes in Trachelospermum jasminoides leaf and stem morphology and to identify the timing of the juvenile-to-adult phase transition. Fifty percent of stems showed thigmotropism in the fall of the 5th year after sowing. In May of the 6th year, stems had adult leaves and 33% of the stems bloomed, indicating that the juvenile period for native T. jasminoides requires at least 5 years prior to blooming. As a result of a study targeting 13 regions in Korea to identify changes in the shape of leaves and stems during the juvenile and adult leaf phases, the leaf shape index of juvenile leaves was greater than that of adults in cultivation test districts and most (10) regions. Young leaves were lanceolate with distinct veins, whereas adult leaves were long and oval-shaped, with inconspicuous morphological changes. This study shows that juvenile and adult phase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thigmotropism of stems, leaf vein pattern, relative size of leaves, and leaf shape index. This identification method could be adapted into an index to discriminate the juvenile and adult phases of the native T. jasminoides. According to a dendrogram and PCA, there was no clustering by region of harvest and the morphological elements in juvenile and adult leaves were similar. In addition, PCA showed that leaf area had the highest contribution rate among the first main components and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for distinguishing the juvenile and adult phases of native T. jasminoid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8763
2465-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