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증식 방사 저어새와 야생 저어새의 서식지 이용 및 이주

본 연구는 선제적보전전략 적용 하에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저어새 번식지 각시암에서 알을 구조하여 인공 증식한 4개체와 송도 갯벌에서 구조한 유조 1개체를 원 서식지에 방사 후 야생 적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특히, 방사 개체 중 3개체와 각시암에서 태어난 야생 저어새 유조 5개체에게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여 얻은 자료와 가락지 재관찰 정보를 수집하여 서식지 이용, 이주 행동,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위치추적 결과 방사 개체 중 2개체와 야생개체들은 방사 및 이소 이후부터 이주하기 전까지 강화도 남단 갯벌을 이용했고, 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류학회지 Vol. 30; no. 2; pp. 73 - 85
Main Authors 유성연(Sung-Yeon Yoo), 이기섭(Ki-Sup Lee), 황종경(Jong-Kyeong Hwang), 박종현(Jong-Hyun Park), 유정칠(Jeong-Chil Yoo), 권인기(In-Ki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류학회 01.12.2023
한국조류학회II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선제적보전전략 적용 하에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저어새 번식지 각시암에서 알을 구조하여 인공 증식한 4개체와 송도 갯벌에서 구조한 유조 1개체를 원 서식지에 방사 후 야생 적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특히, 방사 개체 중 3개체와 각시암에서 태어난 야생 저어새 유조 5개체에게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여 얻은 자료와 가락지 재관찰 정보를 수집하여 서식지 이용, 이주 행동,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위치추적 결과 방사 개체 중 2개체와 야생개체들은 방사 및 이소 이후부터 이주하기 전까지 강화도 남단 갯벌을 이용했고, 나머지 방사 개체는 동검도 인근 갯벌과 영종도 북단 갯벌을 이용했다.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개체들 중 방사개체 1개체와 야생개체 3개체가 서해를 건너 중국으로의 이주에 성공했다. 위치추적 방사개체는 이주 후 기존 저어새 월동지로 알려진 항저우만과 타이저우만 사이의 리양 만에서 월동했으며, 가락지만 부착한 방사개체 중 1개체는 중국 쑤저우시 타이호에서 월동한 것이 확인되었다. 위치추적 및 가락지 재관찰 기록 분석 결과 방사개체들은 첫 월동기에 2마리가 폐사했고, 야생개체들은 월동기 이전에 1개체, 월동기에 1개체가 폐사하여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방사된 저어새와 야생 저어새들의 생존율은 각각 60%로 나타났다. 저어새를 대상으로한 선제적보전전략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현재까지 방사한 개체수가 적어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 결과 방사된 저어새가 이주와 월동에 성공하여 향후 확대 적용시 번식성공률이 낮은 번식지의 개체군을 보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wild adaptation of released Black-faced Spoonbills using a headstarting strategy. Rings were attached to five captive-reared spoonbills and five wild spoonbills born in Gaksiam. Additionally, transmitters were attached to three released spoonbills and five wild spoonbills to compare habitat use, migration, and survival rates through re-sight and tracking data. As a result of the tracking data, two of the released spoonbills and five wild spoonbills used the tidal flat on southern Ganghwa Island after release or fledging for migration. One released spoonbill used the tidal flat near Donggeom Island and northern Yeongjong Island. Among the tracked spoonbills, one released spoonbill and three wild spoonbills had migrated from the West Sea to China. After migration, the released spoonbill wintered in Liyang Bay between Hangzhou Bay and Taizhou Bay, which were previously known spoonbill wintering site. One of the spoonbills, which was released with only an attached color band, wintered in Tai Lake, Suzhou, China. Tracking and re-sight record analyses revealed that, two released spoonbills died during the first wintering period. One wild spoonbill died before wintering, and one died during wintering. The survival rate of the released spoonbills was 60%, and the survival rate of the wild spoonbills was 60% one year after release or fledging. Headstarting for spoonbill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there is a limit to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released individual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eased spoonbills succeeded in wintering and migrating, and there is a possibility for future development of this strategy. If headstarting is further improved and expande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opulation reinforcement of breeding sites with low reproductive success rat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179
2586-6893
DOI:10.30980/KJO.2023.12.30.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