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발목 손상의 감별진단을 위한 초음파 이용

급성 발목 손상은 전체 스포츠 손상 중 가장 흔한 스포츠 손상이다. 급성 발목 손상의 85%에서 발목인대 손상이 발생하며 이 중 전거비인대 손상이 가장 흔하지만 삼각인대 손상, 전하방경비인대 손상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인대 손상 이외에도 비골건과 같은 힘줄의 파열 및 탈구, 종골 전방돌기 골절과 같은 인접부 골절, 발목주변 감각신경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주상골 증후군, 비골하 부골, 거종유합증 등의 기저 질환이 급성 발목 손상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증의 원인을 정확하게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8; no. 4; pp. 331 - 340
Main Authors 박영욱(Young Uk Park), 이종화(Jong Wha Lee), 서영욱(Young Wook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급성 발목 손상은 전체 스포츠 손상 중 가장 흔한 스포츠 손상이다. 급성 발목 손상의 85%에서 발목인대 손상이 발생하며 이 중 전거비인대 손상이 가장 흔하지만 삼각인대 손상, 전하방경비인대 손상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인대 손상 이외에도 비골건과 같은 힘줄의 파열 및 탈구, 종골 전방돌기 골절과 같은 인접부 골절, 발목주변 감각신경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주상골 증후군, 비골하 부골, 거종유합증 등의 기저 질환이 급성 발목 손상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증의 원인을 정확하게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 발목 손상에서 통증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한 초음파 검사는 매우 유용하고, 외래 진료실이나 응급실에서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부하검사 같은 동적 검사를 통하여 불안정성을 파악하고, 손상의 정도를 자세히 관찰하고 진단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급성 발목 손상에서 인대 손상, 잠재골절, 부골, 신경손상, 힘줄손상 등의 감별에도 초음파는 유용한 검사법이다. 단, 일부 족근골결합, 족근동 증후군, 골연골손상 및 관절 심부 병변의 경우에는 초음파 검사가 제한적이어서 핵의학검사나자기공명영상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Acute ankle injuries are the most common sports injuries. Ankle ligament injury occurs in 85% of acute ankle injuries, of which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njury is the most common, but it can be accompanied by deltoid ligament or an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injuries. In addition to ligament injury, peroneus tendon rupture or dislocation, adjacent area fracture such as calcaneal anterior process fracture and sensory nerve injury around ankle may occur. Furthermore underlying ankle diseases, such as accessory navicular syndrome, os subfibulare and tarsal coalition, may be exacerbated by acute ankle injury, so the cause of pain should be accurately identified. Ultrasonography is extremely use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ankle injury and can be performed quickly in outpatient clinics or emergency room setting. In addition, dynamic test such as stress test can identify instability and easily observe and diagnose the degree of damage. It can also be use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in ligament injury, possible occult fracture, common ossicle, nerve injury, and tendon injury. However, ultrasonography is limited when differentiating other disease entities such as tarsal coalition, sinus tarsi syndrome and osteochondral lesion that are located deep in the joint, thus additional test modalities such as magnetic resonance and nuclear medicine imaging may be requir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3.58.4.331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3.58.4.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