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내러티브 분석: 내러티브 구조와 특징을 중심으로
메타버스는 복잡도가 높은 분야다. 메타버스에서 이용자의 몰입을 통해 실제와 같은 느낌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의 성숙도와 함께 내러티브 구성과 방향에 대한 기준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세계에서 체험을 실제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음과 같은 내러티브의 구조적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먼저 현실의 일상과 가상 세계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맥락적 동기화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일상을 확장하고, 가상 체험을 실제화하는 과정에서 스토리는 이용자가 실제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3; pp. 453 - 46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3.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3.453 |
Cover
Summary: | 메타버스는 복잡도가 높은 분야다. 메타버스에서 이용자의 몰입을 통해 실제와 같은 느낌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의 성숙도와 함께 내러티브 구성과 방향에 대한 기준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세계에서 체험을 실제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음과 같은 내러티브의 구조적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먼저 현실의 일상과 가상 세계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맥락적 동기화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일상을 확장하고, 가상 체험을 실제화하는 과정에서 스토리는 이용자가 실제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토리두잉(Story-Doing)이 가능해야 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가상 세계가 지향하는 이용목적과 가치(목적/소셜(관계)/거래)를 구체적으로 내러티브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타버스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은 기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진행되는 집단/또래 문화를 차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거래 안전성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경제시스템은 이용자들의 경제적 가치를 보장하며, 가상 세계를 실제처럼 인식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required to realize the metaverse experience (virtual world) were analyzed and explained. Firs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real life with the virtual world, contextual synchronization that can induce user immersion must proceed. Second, story-doing, which expands daily life and actualizes virtual experiences, should be possible. Third, the metaverse value (purpose/social relationship/transaction) that the virtual world aims for must be reflected in the narrative design in detail. Fourth, social interaction in the metaverse should be able to differentiate the group/peer culture conducted in existing social network services. Fifth, the metaverse economic system that supports transaction safety guarantees the economic value of users and thus plays a positive role in recognizing the virtual world as real.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3.24.3.4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