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魏北齊 여성의 정치·사회 활동과 그 배경 : ‘남녀평등’의 유목문화와 그 확산
본 논문은 문헌과 미술사,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東魏北齊時代 여성(婦女)들의 활발한 정치 참여 및 사회 활동을 논증한 글이다. 北齊 건국 이후 婁太后(婁昭君)와 後主의 보모 陸令萱이 권력을 행사하였다. 이는 다른여성들의 정치 간여와 인사 문제 개입 등을 용이하게 하였다. 지배층 여성들의 사회 활동은 하층 평민 여성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일반 여성들의 邑義 조직 및 활동에서확인할 수 있다. 東魏北齊時代에 출현한 말탄 여성의 陶俑은 수도 鄴뿐만 아니라 李希宗의 고향인 趙郡 伯仁縣, 徐州에서 출토되었다. 東魏北齊...
Saved in:
Published in | 人文學硏究, 37(0) Vol. 37; pp. 111 - 13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01.06.2022
인문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979 2671-9584 |
DOI | 10.31323/SH.2022.06.37.05 |
Cover
Summary: | 본 논문은 문헌과 미술사,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東魏北齊時代 여성(婦女)들의 활발한 정치 참여 및 사회 활동을 논증한 글이다.
北齊 건국 이후 婁太后(婁昭君)와 後主의 보모 陸令萱이 권력을 행사하였다. 이는 다른여성들의 정치 간여와 인사 문제 개입 등을 용이하게 하였다. 지배층 여성들의 사회 활동은 하층 평민 여성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일반 여성들의 邑義 조직 및 활동에서확인할 수 있다.
東魏北齊時代에 출현한 말탄 여성의 陶俑은 수도 鄴뿐만 아니라 李希宗의 고향인 趙郡 伯仁縣, 徐州에서 출토되었다. 東魏北齊 皇室과 지배층 여성과 宮女, 女官의 말타기가 東 魏北齊의 공식 수도 鄴뿐만 아니라 河北과 淮北 지역 등 여러 지역의 漢人 여성에게도 전파되었음을 뜻한다. 또 北齊 徐顯秀墓 벽화에 보이는 女性男裝은 唐初 婦女의 女扮男裝 현상의 효시였다. 女性의 男裝은 특히 말타기를 위해 편한 복장을 착용하여 남성들과 똑같은 환경에서 살았던 유목민 여성들의 생활이 반영된 현상이었다. During the Northern Qi Dynasty, Empress Dowager Lou and Lu Lingzuan, the royal babysitter of the Last Emperor seized political power. So, many wives of Xianbei and the Chinese ruling class participated or interfered in politic affairs and official appointments. I have proven that this phenomenon originated from the influence of Wuhuan and Xianbei’s nomadic customs and comparative extension of nomadic women's rights.
The terracotta figurines of women’s horse-riding have been excavated in Ye, the capital city of Eastern Wei and Northern Qi Dynasty, Boren county of Zhao commandery, and Xuzhou.
Boren county and Xuzhou were Chinese residential districts, so women’s horse-riding was in fashion not only in the capital city of Eastern Wei and Northern Qi Dynasty, but also in Chinese residential districts, and spread among Chinese women. Women’s horse-riding was influenced by nomadic customs. The wearing of male clothing by females while riding a horse was influenced by nomadic customs, too.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0979 2671-9584 |
DOI: | 10.31323/SH.2022.06.3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