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상블 분석을 통한 긴꼬리딱새 서식지 특성 연구
본 연구는 긴꼬리딱새(Terpsiphone atrocaudata)의 서식지 선택 경향을 분석하고, 서식지 보전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가 다수 이루어진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지역을 북부, 중부, 남부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60개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일주일 간격을 두고 두 차례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긴꼬리딱새의 출현지점과 비출현지점을 도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서식 변수로는 Bio3(등온성, Isothermality), Bio4(온도 계절성), Bio10(...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류학회지 Vol. 31; no. 2; pp. 208 - 22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류학회
01.12.2024
한국조류학회II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179 2586-6893 |
DOI | 10.30980/kjo.2024.12.31.2.20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긴꼬리딱새(Terpsiphone atrocaudata)의 서식지 선택 경향을 분석하고, 서식지 보전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가 다수 이루어진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지역을 북부, 중부, 남부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60개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일주일 간격을 두고 두 차례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긴꼬리딱새의 출현지점과 비출현지점을 도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서식 변수로는 Bio3(등온성, Isothermality), Bio4(온도 계절성), Bio10(가장 따뜻한 사분기의 평균온도), Bio18(가장 따뜻한 사분기의 강수량), 고도, 지형곡률, 산림 수고, 임상밀도, 수종, 호수와의 거리, 습지와의 거리, 도로까지의 거리, 해안선까지의 거리를 사용하였으며, 5가지 종분포모형(GLM, GAM, MARS, FDA, RF)을 구동하였다. 단일 모형 구동 결과 긴꼬리딱새는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Bio18)이 낮은 지역과 산림 수고가 높은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변수를 활용한 최적화 모형을 구동하였다. 최적화 모형 분석 결과 경상북도와 강원도 및 경기 북부 일부, 지리산 지역, 전라남도 도서 지역에서 높은 예측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abitat selection trends of Terpsiphone atrocaudata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abitat conservation strategies. Excluding Jeju Island, where extensive prior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outh Korea was divided into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Sixty survey sites were selected in each region,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at one-week intervals. Based on these surveys,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sites of T. atrocaudata were identified. We utilized Bio3 (Isothermality), Bio4 (Temperature Seasonality), Bio10 (Mean Temperature of Warmest Quarter), Bio18 (Precipitation of Warmest Quarter), elevation, terrain curvature, forest height, canopy density, dominant tree species, distance to lakes, distance to wetlands and distance to roads, and distance to the coast as the main habitat variables, and implemented fiv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GLM, GAM, MARS, FDA, RF). Results from the individual models indicated that T. atrocaudata preferred areas with low precipitation (Bio18) and high forest cover during the warm quarter, prompting us to conduct an optimization model analysis using these variables. This optimization model demonstrated strong predictive performance in Gyeongsangbuk-do, parts of Gangwon-do, North Gyeonggi-do, the Jirisan region, and the island region of Jeollanam-do.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9179 2586-6893 |
DOI: | 10.30980/kjo.2024.12.31.2.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