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진단과 영향요인 연구 - 북한이탈주민·결혼이주민과 일반 국민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디지털소외계층을 다문화 이주민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자료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는 디지털 격차 정책의 일환으로 4대 정보소외계층(장노년․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 위주의 지원정책이 있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다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정보격차 정책 역시 이주민에 대한 수용을 반영하는 프레임 확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통해 국내 다문화 인구를 구성하는 주요한 집단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과 일반국민간의 비교를 통해 디지털 격차 실태...
Saved in:
Published in | 문화콘텐츠연구 no. 29; pp. 169 - 20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01.12.2023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이 연구는 디지털소외계층을 다문화 이주민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자료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는 디지털 격차 정책의 일환으로 4대 정보소외계층(장노년․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 위주의 지원정책이 있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다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정보격차 정책 역시 이주민에 대한 수용을 반영하는 프레임 확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통해 국내 다문화 인구를 구성하는 주요한 집단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과 일반국민간의 비교를 통해 디지털 격차 실태를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일반국민 집단과 다문화 집단 사이에는 디지털 정보 접근․ 역량․ 활용 격차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특히 결혼이주민은PC 위주의 자본향상적 정보 역량 및 활용과 관련해서는 북한이탈주민보다 낮은 모습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PC/모바일 기기를 통한 자본향상적/여가적 정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PC 이용 역량과 디지털 접근기기 다양성이 모든 회귀 모델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은소득이 증가하면 모바일 기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결혼이주민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PC 활용 및 모바일 기기의 자본향상적 활용이 증가하고 있었다. 본연구를 통해 이주민 집단인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발생을 이해하고, 추후 디지털 격차 해소 지원에 대한 함의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igital inclusion is being emerged as an important keyword for social policy. In South Korea, digital inclusion policies are mostly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4 digital disadvantaged class(the aged / the disabled / lowincome class / farmers and fishermen). However, as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n society progresses, the government’s inclusion policy also needs to expand its frame to embrace racial minoriti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2019 Digital Divide Survey」 data from NIA, this study explored the digital divide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which are the major groups of multicultural population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one-way ANOVA results, digital access & skill & usage divide exists between general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groups of South Korea,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 group’s PC-oriented digital skill and usage levels were even lowered than those of North Korean refugees.
After exploring each group’s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to capitalenhancing/recreational use of PC and Mobile devic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we found that PC skill and device diversity level is the key factor of enhancing people’s digital use. In addition, North Korean refugees’ mobile device use is affected by income level,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capital-enhancing use and PC use is affected by education level. This study helps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and contributes to finding implicit point of digital inclusion suppor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7-2256 2671-7026 |
DOI: | 10.34227/tjocc.2023..29.1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