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게시물의 전시 관람 참여에 미치는 영향: Z세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전시 관련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의미와 Z세대의 전시 공유 활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적 상호작용, 정보적 유용성, 전시 참여, 정보적 참여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을 수립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 상관 분석, 신뢰구간 유의확률검정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해보면, 관람 전 단계의 경우, 모집단은 전시 후기를 이용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게시물과 정보적 상호작용을 시도했으며, 게시물 유형 중 사진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과반수 정도의 설문참여자는 해시태그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1; no. 4; pp. 731 - 740
Main Authors 강현웅(Hyun-Woong Kang), 박시원(Si-Won Park), 주연지(Yeon-Ji Joo), 이보아(Bo-A R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전시 관련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의미와 Z세대의 전시 공유 활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적 상호작용, 정보적 유용성, 전시 참여, 정보적 참여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을 수립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 상관 분석, 신뢰구간 유의확률검정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해보면, 관람 전 단계의 경우, 모집단은 전시 후기를 이용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게시물과 정보적 상호작용을 시도했으며, 게시물 유형 중 사진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과반수 정도의 설문참여자는 해시태그를 사용해서 정보를 탐색했다. 결론적으로, 관람 전 단계에서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정보적 유용성과 해시태그의 유용성은 실제 관람 유도와 상관 관계를 가졌다. 또한 관람 전 단계에서 인스타그램에 대한 정보적 상호작용성과 인스타그램의 정보적 유용성은 관람 후 인스타그램 게시물 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aning of Instagram posts and Generation Z’s sharing exhibition experience. We set up four hypotheses using four variables such as informational interaction, informational usefulness, exhibition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al participation, and test the hypotheses following literature reviews, surve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probability test. Our findings show that the survey participants interact with Instagram posts in order to use exhibition reviews, and they highly prefer photo images and a half of them use hashtags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pre-visit phase. In conclusion, the informational usefulness of Instagram posts and hashtags have correlations with actual exhibition participation. The information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al usefulness also affect Instagram posting activities in during and post-visit phase. KCI Citation Count: 10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0.21.4.731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0.21.4.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