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구석기의 초기(IUP) 호모사피엔스계 ‘신종 의기류’의 등장과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
IUP 알타이지역에서 호모사피엔스계 의기류가 첫등장한 이래 후기구석기 알타이바이칼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다시 신석기를 맞아 흑수백산지역으로 옮겨졌으니, 이를‘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으로 개념화해보게 된다.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의 관점으로 데니소바 IUP층 의기류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석기 흑수백산지역, 특히 소남산 의기류로의 전일적 계승 관계이다. 데니소바 IUP층에서는 소남산 의기류의 4대 기종이 모두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기종이었던 벽류를 기준으로 볼...
Saved in:
Published in | 유라시아문화 Vol. 10; pp. 3 - 10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01.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99-4147 2799-4155 |
DOI | 10.47527/JNAH.2024.02.10.3 |
Cover
Loading…
Summary: | IUP 알타이지역에서 호모사피엔스계 의기류가 첫등장한 이래 후기구석기 알타이바이칼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다시 신석기를 맞아 흑수백산지역으로 옮겨졌으니, 이를‘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으로 개념화해보게 된다. ‘호모사피엔스문화의 알타이바이칼→흑수백산 중심론’의 관점으로 데니소바 IUP층 의기류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석기 흑수백산지역, 특히 소남산 의기류로의 전일적 계승 관계이다. 데니소바 IUP층에서는 소남산 의기류의 4대 기종이 모두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기종이었던 벽류를 기준으로 볼 때, 후기구석기와 신석기라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벽문화의 대체가 큰 변동없이 지속되었다.
둘째, 중기구석기 의기류와의 차별화이다. 데니소바 IUP층의 의기류 4기종은 한결같이 호모사피엔스계 신기종이었다. 호모사피엔스의 의기류는 호모사피엔스의 달라진 세계관을 충실히 담아낼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상징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셋째, 호모사피엔스계 신종 의기류의 중심인 ‘벽류⋅관류⋅태아형기류’ 중에서도 벽류의 다양한 형태와 절대적 위상이 시사하는 바, ‘하늘의 근원적 생명’을 근간으로하는 새로운 생명관의 등장이다.
넷째, 호모사피엔스계 신생명상징의 요체인 ‘원⋅방⋅태아’ 상징에 나타난 바, ‘원(하늘)⋅방(땅)’을 배경으로 살아가는 주인공 ‘태아(생명체)’의 ‘한생명 또는 공생’적 삶의방향성에 대한 인식의 등장이다. 벽류⋅관류의 원⋅방 상징이 ‘하늘의 근원적 생명을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생명인식’의 등장을 보여주었다면, 태아형기의 태아 상징은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모든 생명체가 ‘원(하늘)⋅방(땅)’ 안에서 ‘한생명 또는 공생’의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는 삶의 본질 또는 방향에 대한 인식의 등장을 보여주었다. IUP 알타이지역의 호모사피엔스는 초기 호모사피엔스와 달리 ‘하늘의 근원적 생명’에서 더 나아가 ‘한생명-공생’이라는 삶의 방향까지 인식하고 있었으니, 이러한 세계관의 변화, 또 이와 연동된 삶의 방식 변화를 이른 바 ‘호모사피엔스 인지혁명(인간성의 등장)’의 요체로 바라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데니소바 의기류의 잘 갖추어진 형식성이 대변해주는 바, 호모사피엔스 의기류문화의 좀 더 이른 발생의 가능성이다. 데니소바 의기류는 기종⋅형태⋅조합⋅상징 등 여러 측면에서 형식성을 잘 갖추어 좀 더 이른 시기에 이러한 의기류문화가 시작되었을 것임을 시사해주었다. Since Homo sapiens’s ritual goods of the IUP period first appeared in the Altai region, they spread to the Altai⋅Baikal region in Upper Paleolithic Age. Then again moved to ‘the Heuglyong River⋅Mt. Baekdu(黑水白山)’ region in the Neolithic age. Thus these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Homo sapiens’s cultural center succession theory from Altai⋅Baikal region to the Heuglyong River⋅Mt. Baekdu region’. From this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goods in the IUP stratum of Denisova sit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show direct successive relationship with the Neolithic Heuglyong River⋅Mt. Baekdu region, especially with the ritual goods of Sonamsan Culture(小南山文化). In Denisova site’s IUP stratum, all the four models of Sonamsan ritual goods appear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most important model Byeog(璧), despite the periodic change from the Upper Paleolithic Age to the Neolithic Age, the essence of Byeog culture was succeeded without much change.
Second,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ritual goods of the Middle Paleolithic Age. The four models of ritual goods in Denisova site’s IUP stratum were new models made by Homo sapiens without exception. Homo sapiens’s ritual goods had a new symbolic system designed to express the changed world-view of Homo sapiens fully.
Third, among ‘Byeogs⋅Tubes⋅Embryos’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new ritual goods of Homo sapiens, the various forms and absolute status of Byeogs show the emergence of a new life-view based on the fundamental life energy, ‘One Ki(氣) Energy of Sky’.
Fourth, the essence of Homo sapiens’s new life symbols ‘Circle⋅Squre⋅Embryo’ show the emergence of awareness of life direction, which tells one life(embryo, protagonist) under the background of Circle(Sky) and Squre(Earth) should live for ‘One Ki energy’ or ‘Coexistence’. While ‘Circle⋅Square’ symbols of ‘Byeogs⋅Tubes’ showed the emergence of a new life perception based on ‘One Ki energy of Sky’, ‘Embryo’ symbols went one step further to show all the lives are living in ‘Circle(Sky)⋅Squre(Earth)’ in the state of One Ki energy and Coexistence. It was appearance of new awareness for the nature of life or the direction of life.
Unlike early Homo sapiens, Homo sapiens in the IUP Altai region, not just knowing ‘One Ki energy of Sky’ but recognized the direction of life to live for ‘One Ki energy – Coexistence’. So this change of world-view and changed way of life linked to it are viewed as the essence of so-called ‘The Cognitive Revolution of Homo sapiens(The emergence of humanity)’.
Finally, the well-equipped formality of Denisova site ritual goods tells the possibility that Homo sapiens’s ritual goods culture had been developed earlier. The ritual goods of Denisova site were well formalized in many aspects such as models, shapes, combinations and symbols, suggesting these ritual goods culture might have begun earlier.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2799-4147 2799-4155 |
DOI: | 10.47527/JNAH.2024.02.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