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본 연구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하는 아동들의 언어발달관련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아동들의 언어발달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아동들의 언어발달에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한국어 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질문지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경북 A지역 및 경남 H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이 만 2세 11개월에서 만 7세 4개월까지 국제결혼으로 형성된 필리핀, 일본, 베트남 등의 다문화가정아동 47(남;25/여;22)명과 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7; no. 1; pp. 81 - 102
Main Authors 황상심(Sang-Shim Hwang), 정옥란(Ok-Ran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하는 아동들의 언어발달관련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아동들의 언어발달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아동들의 언어발달에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한국어 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질문지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경북 A지역 및 경남 H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이 만 2세 11개월에서 만 7세 4개월까지 국제결혼으로 형성된 필리핀, 일본, 베트남 등의 다문화가정아동 47(남;25/여;22)명과 그 어머니들이다. 취학 전 아동의 표현-수용언어척도와 그림어휘력검사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통합언어연령, 수용언어, 표현언어 및 어휘이해력을 평가하였으며, 그림어휘력검사, 구문의미이해력검사, 및 단어명명하기 검사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한국어 어휘이해력, 구문의미이해력 및 어휘표현력을 평가하여 아동들의 언어발달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처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한국어능력 비교를 위해서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언어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한국어 능력은 어휘이해력은 약 6.6세(78.9개월), 구문의미이해력은 약 34점(전체 57점), 어휘 명명하기는 42.34점(전체 57점)이었으며, 일본 어머니들이 어휘이해력, 구문의미이해력 및 어휘 명명하기에서 필리핀 어머니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특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표현언어, 수용언어 및 어휘이해력과 높은 상관을 보인 변인은 아동들의 동작성언어성 지능 및 전체 지능, 어머니의 구문의미이해력, 어휘명명하기 능력 및 어휘이해력, 아동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육경험, 결혼 기간 등이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과 가장 가까이서 상호작용하는 대상이 어머니라고 볼 때 어머니들의 언어능력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그와 유사하게 어머니의 결혼기간이 길어 한국어능력이 나을수록 아동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and comparing culturally diverse environment groups in terms of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of related variables. Forty-seven children and their mothers serv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mothers had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from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Japan, Vietnam, etc. The majority of them came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To evaluate speech and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four examination tools (Preschool Language Scale, Picture Vocabulary Test, and Naming test)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Performances were analyzed by the "t" test procedure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s the result,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the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 showed a high correlation to children's verbal and non verbal intelligence, their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the extent of educational experiences of children such as kindergarten, and parent's marriage period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he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 are different, but analysis of the results also require the other various factors to be considered together. KCI Citation Count: 80
Bibliography:G704-000939.2008.17.1.005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8.1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