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아메라(Pandenus conoideus)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 평가
본 연구에서는 용매 분획한 부아메라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율은 1.98~85.14%로 헥산 분획물이 85.14%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물 분획물, 그다음으로는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순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0.6~2.0 mg/g GAE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2.0 mg/g GAE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헥산, 그다음으로는 부탄올과 물 분획물 순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1 ~2.7 mg/g CE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2.7 mg/g CE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헥산, 그...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0; no. 8; pp. 792 - 79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8.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용매 분획한 부아메라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율은 1.98~85.14%로 헥산 분획물이 85.14%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물 분획물, 그다음으로는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순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0.6~2.0 mg/g GAE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2.0 mg/g GAE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헥산, 그다음으로는 부탄올과 물 분획물 순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1 ~2.7 mg/g CE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2.7 mg/g CE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헥산, 그다음으로는 부탄올과 물 분획물 순이었다. FRAP 측정결과, 5.1~44.8 mM/g으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44.8 m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는 헥산, 그다음으로 부탄올과 물 분획물 순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능 측정결과, IC50값이 1.8~27.7 mg/mL로 헥산 분획물이 27.7 mg/mL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부탄올, 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순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능 측정결과 IC50값이 1.5~48.4 mg/mL로 헥산 분획물이 48.48 mg/mL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물,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순이었다.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능에서 모두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가장 낮은 값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아메라의 용매 분획에서 실험에 사용한 6가지 균주 모두에 항균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헥산 분획물의 경우 E. cloacae와 B. cereus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의 경우 S. aureus와 E. coli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S. aureus와 B. cereus 및 S. enterica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물 분획물에서는 E. cloacae와 B. subtilis를 제외하고 S. enterica와 S. aureus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아메라 용매 분획 추출물들의 항산화 성분들이 어떠한 용매에 주로 포집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극성 용매부터 비극성 용매까지 차례대로 분획해보았다. 이를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의 활성이 가장 활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디클로로메탄층에서 수율이 가장 낮았기에 수율과 활성을 모두 고려하여 헥산층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Buah merah is a plant native to Papua, Indonesia, and is rich in antioxidants. In this study, the extraction method of the antioxidant content of the buah merah was optimized. The phenol content was found to be 0.6 to 2.0 GAE mg/g, and the activity was the highest in dichloromethan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found to be 0.1 to 2.7 CE mg/g and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dichloromethane.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measurement was found to be 5.1 to 44.8 mM/g, and the highest value was seen in dichloromethan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n IC₅₀ value of 3.2∼27.7 mg/mL, and the lowest value was 1.8 mg/mL in dichloromethan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n IC50 value of 1.6∼48.41 mg/mL, and the lowest value was 1.6 mg/mL in dichloromethane. It was found that each fraction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experiment. The hex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loacae and B. cereus, and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E. coli. The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gainst S. aureus, B. cereus, and S. enterica, and the water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gainst S. enterica and S. aureus. Based on all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ichloromethane was the most active and effective fraction of buah merah.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