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확인질문 제시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

연구목적: 추론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 영역 중 하나로, 그 중 개인화된 예측추론은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행동을 파악하는 과정이며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에서 특성확인질문 제시에 따라 수행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 4세에서 6세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각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는 행동 특성을 나타내는 6개의 어휘(착하다, 나쁘다, 예의바르다, 욕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37; no. 3; pp. 163 - 176
Main Authors 정수연(Jeong, Su Yeon), 최소영(Choi, So 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8.2021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추론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 영역 중 하나로, 그 중 개인화된 예측추론은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행동을 파악하는 과정이며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에서 특성확인질문 제시에 따라 수행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 4세에서 6세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각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는 행동 특성을 나타내는 6개의 어휘(착하다, 나쁘다, 예의바르다, 욕심쟁이다, 깨끗하다, 버릇이 없다)를 포함하는 전제문장을 듣고 예측추론 질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특성확인질문의 제시 유무에 따라 전체 24문항을 절반의 세트로 나누어 역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 수행에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특성확인질문이 제시된 조건에서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오류 빈도 및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오류를 보였으며 가장 많이 나타난 오류 유형은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상황추론’이었다.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개인화된 예측추론 과정에서 어려움을 보이나 행동 특성을 확인하는 절차와 같이 추론을 촉진하는 방안을 도입한다면 보다 적절한 수행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는, 향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추론 특성에 관한 연구 및 중재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경험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face difficulties with inference among various language area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hildren with SLI show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 confirmation question in a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task.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SLI aged 4 to 6 years old,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matched their chronological age (CA). The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task of a premise sentence including six words (good, bad, polite, greedy, clean, and not spoiled), indicating person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ter listening to the sentence,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predictive inference question. A total of 24 sentences were divided into half set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 confirmation question. Result: First, children with SLI showed difficulty in performing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tasks compared to the CA group. However, both groups showed a better performance of task the characteristic confirmation question was presented.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and types of errors, children with SLI showed relatively more errors, and the most common error types were of “situation inference”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y processing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but more appropriate inference can be achieved by introducing a method to facilitate the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empirical data and implications considering future studies and language interventions for SLI. KCI Citation Count: 1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1.08.37.3.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