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는 부모를 언어치료에 참여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부모교육 및 상담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기질적 언어장애아동의 어머니 64명과 기능적 언어장애아동의 어머니 62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양육스트레스를 비교하고 아동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 치료유무, 어머니의 연령, 학력, 종교, 취업여부, 양육효능감이 각 집단 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기질적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기능적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1; no. 1; pp. 39 - 51
Main Authors 홍새미(Sae Mi Hong), 유영진(Young Jin Yu), 박성종(Sung Jong Park), 김아현(Ah Hy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2.21.1.0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는 부모를 언어치료에 참여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부모교육 및 상담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기질적 언어장애아동의 어머니 64명과 기능적 언어장애아동의 어머니 62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양육스트레스를 비교하고 아동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 치료유무, 어머니의 연령, 학력, 종교, 취업여부, 양육효능감이 각 집단 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기질적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기능적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기능적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경우 아동의 연령이 높을수록, 기질적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를 치료에 참여시키고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할 때 아동의 언어장애 원인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Understanding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is important in order to encourage parents to participate in speech therapy and to offer more effective consul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with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s age, sex, birth order, treatment history, mother's age, education level, religion, employment status, and parenting efficacy have any influences. The participants were 64 mother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and 62 mother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The children's ages were from three to five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have more parenting stress than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age. Similarly, elevated parenting stress was found in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as the education level of mothers increas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need to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causes of language disorder when having parents take part in speech therapy for their children and consulting with them.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http://www.ksha1990.or.kr/main/society/society_view.asp?idx=61
G704-000939.2012.21.1.001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2.2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