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야기 산출

이 연구는 필리핀 및 일본 출신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어머니로 둔 다문화가정 아동 35명과 같은 지역에 살고 연령이 같은 비다문화가정 아동 35명의 이야기 능력을 살펴보았다. 학령전기의 경우 공, 그네 이야기(배소영, 이승환, 1996)를 학령기의 경우 개구리이야기(Mayer, 1969)를 사용하여 자발적인 이야기 산출을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학령전기 집단 및 학령기 집단 모두에서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야기 구성력이 낮았다. 이야기문법은 학령전기의 경우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야기문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9; no. 2; pp. 53 - 72
Main Authors 곽금주(Keum Joo Kwak), 배소영(So Yeong Pae), 권유진(Eu Gene Kwon), 진연선(Yeon Sun Jin), 전홍주(Hong Ju J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6.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0.19.2.00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필리핀 및 일본 출신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어머니로 둔 다문화가정 아동 35명과 같은 지역에 살고 연령이 같은 비다문화가정 아동 35명의 이야기 능력을 살펴보았다. 학령전기의 경우 공, 그네 이야기(배소영, 이승환, 1996)를 학령기의 경우 개구리이야기(Mayer, 1969)를 사용하여 자발적인 이야기 산출을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학령전기 집단 및 학령기 집단 모두에서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야기 구성력이 낮았다. 이야기문법은 학령전기의 경우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야기문법 총점이 낮았는데 특히 이는 이야기문법 중 결과에서 수행력에 차이가 났던 것에 기인하였다. 학령기의 경우에는 이야기문법 총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는데, 하위 이야기문법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비다문화가정 아동이 배경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언어적 결속표지 사용력의 경우, 학령전기 집단과 학령기 집단 모두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동이 결속표지 정확율이 낮았다. 학령전기에는 비다문화가정아동이 적절한 결속표지를 더 많이 사용한 반면, 학령기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부적절한 결속표지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야기는 담화적 능력을 증진시킨다는 측면에서 매우 주요하므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야기 산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언어적 결속표지의 경우에는 문법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mpared multicultural Korean children's narratives with those of monocultural children. Thirty five children with mothers from Japan or the Philippines and thirty five peers participated in narrative generation tasks. For preschool children, two stories of five-cut pictures (Pae & Lee, 1996) were provided and a frog story (Mayer, 1969) was used for school-aged children. In the results, both preschool- and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MUC) performed less efficiently than children with monocultural background (MOC) in narrative composition. As for preschool children, MOC children produced more story grammars than MUC children, especially in the category of result. For school-aged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number of story grammars of MUC children and that of MOC children, although NMC children produced story grammar of background more frequently than that of NMC children. MOC children performed higher than MUC children in the percent of appropriate cohesive device usages. Interestingly, MUC preschool children used appropriate cohesive devices less frequently than the MOC group, meanwhile MUC school-aged children used inappropriate cohesive devices more frequently than MOC children.. In conclusion, MUC children develop story grammars commensurate to their peers although their story composition and cohesive devices need to be more finely tuned. KCI Citation Count: 38
Bibliography:G704-000939.2010.19.2.001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0.19.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