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

이 연구는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촌 지역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신뢰,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고, 50대 연령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신뢰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반면 도시 지역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관계가 높았고, 50대와 60대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신뢰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지역과 달리 교육수준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0; no. 4; pp. 817 - 823
Main Author 이정아(Junga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19.20.4.817

Cover

Loading…
Abstract 이 연구는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촌 지역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신뢰,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고, 50대 연령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신뢰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반면 도시 지역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관계가 높았고, 50대와 60대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신뢰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지역과 달리 교육수준에 따라서도 대졸 이상에서 사회적 관계와 지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규범 준수성과 지역사회 역량이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거나 매우 좋은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신뢰가 높았다.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사회적 환경은 사회참여 및 활동이 많을수록, 사회적 관계와 지지, 신뢰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역량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regional differences of social environ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rated health. In rural areas, males had higher social trust and community competence than females, an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in their 50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social trust,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 in the group with little or no stress. On the other hand, in urban areas, women showe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than me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trust were higher in 50s and 60s. Unlike rural areas, social network, support,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er than university graduat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Norm compliance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 in the group with little or no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social trust were high in the group with good or very good health status. The social environment for health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and support, social trust, and community competence.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이 연구는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촌 지역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신뢰,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고, 50대 연령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신뢰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반면 도시 지역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관계가 높았고, 50대와 60대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신뢰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지역과 달리 교육수준에 따라서도 대졸 이상에서 사회적 관계와 지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규범 준수성과 지역사회 역량이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거나 매우 좋은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신뢰가 높았다.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사회적 환경은 사회참여 및 활동이 많을수록, 사회적 관계와 지지, 신뢰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역량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regional differences of social environ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rated health. In rural areas, males had higher social trust and community competence than females, an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in their 50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social trust,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 in the group with little or no stress. On the other hand, in urban areas, women showe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than me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trust were higher in 50s and 60s. Unlike rural areas, social network, support,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er than university graduat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Norm compliance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 in the group with little or no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social trust were high in the group with good or very good health status. The social environment for health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and support, social trust, and community competence.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이정아(Junga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정아(Junga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285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NzE9LAkEABfAhDDLzA3SbS4cOa_NvnZmjmJUgCSHUbZn9M7FYaygdulV4iAjqUGSB0KGog8EaBnboC63jd2gpD13ee4cfbxFkolYUALCMUUFyItZ8r1MgCMs0CqwgMJ8DWUIEtzgVexmQxbYUFkFILoB8pxO6yKaUc0JIFuya_jj5HJjzwfTxyjydwenll-kO4SS-hslwlMR35qJnnk_N_Q2c3MaTlzH8Zx96yce36fegeU3FO0ziLjTxm-mPlsC8VgedID_rHGhsVBrlLatW36yWSzUrKjJpKYoCTyrNNMeeizkXGHnYV0WXYZ96mtgoKErCPYZdTrEnBdPC1Uppm2GGNM2B1b_bqK2dphc6LRX-9n7Labad0k6j6tiU2YzI1K7M7HE7PAz8UDlH6VDtE2e7vl5BAmGEi5L-AGK_fh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9728/dcs.2019.20.4.817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Urban-Rural Differences of Social Environment
DocumentTitle_FL A Urban-Rural Differences of Social Environment
EISSN 2287-738X
EndPage 82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45429
NODE08010169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49-a30ec9af4f71cb177810c1da6b41d3cf250e6927c41b731c984f8bfaaf54140f3
ISSN 1598-2009
IngestDate Wed Apr 23 03:14:59 EDT 2025
Thu Feb 06 14:01:33 ES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주관적 건강
Social environment
Rural
Urban
Self-rated Health status
농촌
사회적 환경
도시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49-a30ec9af4f71cb177810c1da6b41d3cf250e6927c41b731c984f8bfaaf54140f3
Notes http://dx.doi.org/10.9728/dcs.2019.20.4.817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45429
nurimedia_primary_NODE0801016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4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9
  text: 2019-04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SSID ssib053377222
ssib008451574
ssib049971524
ssib036278589
ssib053682487
Score 2.059926
Snippet 이 연구는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촌 지역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신뢰,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고, 50대 연령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17
SubjectTerms 컴퓨터학
Title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01016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2855
Volume 2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19, 20(4), , pp.817-82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R1Na9RAdGjrQS-iqFg_ShDntKQmkzfJzDHZbKmC9VKxtyXJbkQKW1m2Fw-i0oOooAfFKhQ8KHqosJUK9eAf2qb_wTeTbBKrYpVCGIY3b968mTeZeW-YeY-Qy1xyBnHimSzpuiakTJq4CTMzFZbjeB0ZdSLt7XPBnb8J15b40sTk09qtpdVBPJvc--27kv-RKsJQruqV7D9ItiSKAMyjfDFFCWN6IBnTVpPKkAaCtnwacOo3FUQwnQmp9KnQEN9ChbGhQALxpEYCGihQQAMsnGtoCjYNQGcsKrnGElQKTQHUlQjVnEelpetJUHiY8Tly0Phby1JqUkic0SAsOJd5Pd-rqPtho2BBgC7EnC_GPYW6Ml1wgV9FI9Q90_hBqFtECEeeNUQohhQzXPFTMRoonEBn_GZRPSeIM5BhikSrI5OSmaKH-VhhmoehGx-i2LJ290ZN-3HLzbG4wsPqQX1rkXr25sx2NYyhvWp6jg6uPN5CRP6WdayN5K-x92900mPq8UYnUR7nbfXgahZmy5p1p-L7Nvuf3IovJ3fat1fay_02Gk9X29wBFb1skhxhaHOpOCjX77fKxVkAqr6VrYCKjyd4FaoALWcPdcGyHM0IJFL5huSOKxjogJXlSOS3DFRfrvzSE9T1en1UEY_2VlWcC1wsa3rf4glyvDDYDD__-06SieWVU-RWtrEz-rqZPdrce_sse_fQ2HvyLVvbMnaHz43R1vZo-Cp7vJ69f5C9fmHsvhzuftgxarhv1kdfvmcb60b2ETE-G6PhmpENP2Ub26fJ4lxrsTlvFiFKzJ4L0owcq5vIKIXUsxPlyE3YVmLj8haD3XGSFO2LriuZl4Ade46dSAGpiNMoSjnYYKXOGTLVW-l1zxLDtQA64Dqp4wAkPI5TIdTyynjkprGIp8klHA8tsj-LbprMlMPVvpu7q2kv3AhbaBeqYzp57iBUzpNj1T9ygUwN-qvdi6h6D-IZPSV-AFljrE0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B8%EA%B5%AC%EC%82%AC%ED%9A%8C%EC%A0%81+%ED%8A%B9%EC%84%B1+%EB%B0%8F+%EA%B1%B4%EA%B0%95%EC%88%98%EC%A4%80%EC%97%90+%EB%94%B0%EB%A5%B8+%EC%82%AC%ED%9A%8C%EC%A0%81+%ED%99%98%EA%B2%BD%EC%9D%98+%EC%A7%80%EC%97%AD+%EA%B0%84+%EC%B0%A8%EC%9D%B4&rft.jtitle=%EB%94%94%EC%A7%80%ED%84%B8%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0%284%29&rft.au=%EC%9D%B4%EC%A0%95%EC%95%84&rft.date=2019-04-01&rft.pub=%ED%95%9C%EA%B5%AD%EB%94%94%EC%A7%80%ED%84%B8%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rft.issn=1598-2009&rft.eissn=2287-738X&rft.spage=817&rft.epage=823&rft_id=info:doi/10.9728%2Fdcs.2019.20.4.81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534542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2009&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2009&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2009&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