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
이 연구는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촌 지역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신뢰,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고, 50대 연령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신뢰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반면 도시 지역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관계가 높았고, 50대와 60대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신뢰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지역과 달리 교육수준에...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0; no. 4; pp. 817 - 82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4.817 |
Cover
Loading…
Summary: | 이 연구는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수준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농촌 지역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신뢰,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고, 50대 연령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신뢰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반면 도시 지역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관계가 높았고, 50대와 60대에서 사회참여 및 활동과 사회적 신뢰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지역과 달리 교육수준에 따라서도 대졸 이상에서 사회적 관계와 지지, 지역사회 역량이 높았다. 건강수준별로는 스트레스를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집단에서 규범 준수성과 지역사회 역량이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거나 매우 좋은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신뢰가 높았다. 주관적 건강수준에 대한 사회적 환경은 사회참여 및 활동이 많을수록, 사회적 관계와 지지, 신뢰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역량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regional differences of social environ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rated health. In rural areas, males had higher social trust and community competence than females, an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in their 50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social trust,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 in the group with little or no stress. On the other hand, in urban areas, women showe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than me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trust were higher in 50s and 60s. Unlike rural areas, social network, support,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er than university graduat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Norm compliance and community capacity were high in the group with little or no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social trust were high in the group with good or very good health status. The social environment for health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and support, social trust, and community competence.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9.20.4.817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4.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