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 디지털 이미지 예술시장의 변화
오늘날의 예술시장의 대부분의 수요는 오프라인 전시를 통해서 전시되어 있는 실물의 작품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할 수 있는 지금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을 통한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엔진 민트샵의 디지털 이미지의 암호 화폐 제작 서비스, 케빈 아보쉬의 '포에버 로즈' 라는 작품을 암호 화폐화 하여 토큰을 10/1로 나누어 판매하는 것 그리고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사고, 팔면서 그 이미지만을 위한 고유의 시장 구조가 형성되어 그 시장 자체의 가치가 부여된 아...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1; no. 1; pp. 205 - 21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오늘날의 예술시장의 대부분의 수요는 오프라인 전시를 통해서 전시되어 있는 실물의 작품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할 수 있는 지금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을 통한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엔진 민트샵의 디지털 이미지의 암호 화폐 제작 서비스, 케빈 아보쉬의 '포에버 로즈' 라는 작품을 암호 화폐화 하여 토큰을 10/1로 나누어 판매하는 것 그리고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사고, 팔면서 그 이미지만을 위한 고유의 시장 구조가 형성되어 그 시장 자체의 가치가 부여된 아트워크 'Crypto Punk' 등 이미 디지털 이미지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서 다양한 모습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거래가 계속해서 이루어진다면, 거래 방식의 변화로 예술시장의 단조로웠던 구조에서 벗어나 온라인 전자거래 기술을 활용한 예술시장의 번영이 이뤄질 것이다. Most of the demand in today's art market is typical of buying real works on display through offline exhibitions. However, transactions through blockchain and bitcoin are actively taking place now, which can be call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ngine mint shop's code-money-making service for digital images, Kevin Avosch's "Forever Rose" works are ciphered into 10/1 and sold through various digital blockchain technologies, including the art work "Crypto Punk," which has been valued by the market itself. If the transaction of digital images is continued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the change in the way it deals will lead to the flourishing of the art market using online electronic trading technology, breaking away from the rigid structure of the art market.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0.21.1.205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