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반응에 기초한 직접교수가 수학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연산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재반응에 기초한 직접교수가 수학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과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1단계 중재는 2학년 전체 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일반교수 중재를 실시했으며 수학성취도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하위 20%에 해당하는 수학 학습부진 학생 25명을 선별하였다. 이 중 연구 참여에 부모가 동의하고 중재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15명을 대상으로 2단계 중재인 소집단교수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소집단교수 중재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35; no. 3; pp. 229 - 249
Main Authors 문영숙(Moon, Youngsuk), 방명애(Bang, Myongye), 홍점숙(Hong, Jeomsu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2.2019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19.12.35.3.2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재반응에 기초한 직접교수가 수학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과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1단계 중재는 2학년 전체 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일반교수 중재를 실시했으며 수학성취도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하위 20%에 해당하는 수학 학습부진 학생 25명을 선별하였다. 이 중 연구 참여에 부모가 동의하고 중재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15명을 대상으로 2단계 중재인 소집단교수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소집단교수 중재에 반응이 없는 학생 4명을 선별하여 3단계 개별교수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반응에 기초한 직접교수를 실시한 후 수학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연산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중재반응에 기초한 직접교수를 실시한 후 수학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TI based direct instruction on the computation abilities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Does RTI based direct instruction influence the comput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2) Does RTI based direct instruction influence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Method: The subjects were 125 second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jeon. After tier 1 was implemented for the entire students, 25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were screened for tier 2. For tier 2 intervention 15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ier 3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the 4 students who did not respond to tier 2 intervention. Result: First, RTI based direct instruction improved the comput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Second, RTI based direct instruction improved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Conclusion: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effectively, they should be screened as early as possible by applying a RTI model, and effective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KCI Citation Count: 0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19.12.35.3.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