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종단연구를 통한 아동의 언어능력 예측요인 탐색연구: 작업기억을 중심으로
목적: 본 연구는 작업기억과 언어능력 간의 발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동일한 연구 대상자에 대하여 총 두 시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취학 전 아동 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첫 번째 데이터(T1)는 대상자가 만 4세 경일 때 수집되었고, 두 번째 데이터(T2)는 첫 번째 데이터 수집 10개월 후 아동이 만 5세에 진입하였을 때 수집하였다. 아동은 동작성 지능 85 이상이고 부모 및 교사 보고에 의해 신경학적 결함이 없는 아동으로 하였으며,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취...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9; no. 2; pp. 137 - 144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4.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20.29.2.137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작업기억과 언어능력 간의 발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동일한 연구 대상자에 대하여 총 두 시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취학 전 아동 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첫 번째 데이터(T1)는 대상자가 만 4세 경일 때 수집되었고, 두 번째 데이터(T2)는 첫 번째 데이터 수집 10개월 후 아동이 만 5세에 진입하였을 때 수집하였다. 아동은 동작성 지능 85 이상이고 부모 및 교사 보고에 의해 신경학적 결함이 없는 아동으로 하였으며,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 언어 척도(PRES), 문법성 판단 과제, 음운 인식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작업기억의 하위요인인 음운루프와 시공간 잡기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비단어 따라 말하기 과제, 숫자 폭 기억하기 과제, 그리고 매트릭스 과제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종합적인 언어능력에 대한 지표를 산출하기 위해 각 언어점수의 Z score를 산출하고 합산하여 시기별 언어 종합점수를 산출하였다. 작업기억과 언어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T1에 측정한 작업기억 점수와 T1, T2의 언어 종합점수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T1 언어 종합점수는 작업기억의 매트릭스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T2의 언어 종합점수는 비단어 따라 말하기와 매트릭스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시기별 언어 종합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요인이 상이하였다. 결론: 결과를 종합하면, 내재된 언어지식과 더불어 작업기억이 아동의 언어발달을 유의하게 설명해주며, 아동의 처리능력을 고려하여 중재를 계획할 것을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ssociation of working memory (WM) and language in children at the age of four and five. Methods: The current study is part of a longitudinal study in which 16 children participated at the ages of four (T1) and five (T2). There was about a ten-month gap between T1 and T2. All children wer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have performance IQ above 85 with no issues of neurological deficits. In order to measure language abilities, children performe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 WM was measured using with non-word repetition (NWR), digit span, and matrix tasks. Before conducting statistical analysis, language composite scores were calculated based on Z-scores of all language skill measure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language and WM at T1 and T2.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1 language scores correlated with Matrix, and T2 language scores correlated with Matrix and NWR. Different WM tasks predicted T1 and T2 language scores. Conclusions: Taking all results together, we concluded that acquired knowledge of language and WM are both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t 10 month follow up. Thus,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hould concern children’s WM profile at different ages when planning language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jslhd.org/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20.29.2.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