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국내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연구목적: 국내 감각통합중재를 단일대상연구로 실시한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참여자 특성 및 중재구성 요소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증거기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다. 연구방법: 감각통합중재가 국내에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2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의 효과크기는 연구대상자 변인 및 중재구성 변인으로 구분하여 비중복비율(PND)과 개선율차이(IR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37; no. 1; pp. 201 - 226
Main Authors 권용화(Kown, Yonghwa), 이영옥(Lee, Youngok), 이숙정(Rhie, Suk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2.2021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국내 감각통합중재를 단일대상연구로 실시한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참여자 특성 및 중재구성 요소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증거기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다. 연구방법: 감각통합중재가 국내에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2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의 효과크기는 연구대상자 변인 및 중재구성 변인으로 구분하여 비중복비율(PND)과 개선율차이(IRD)지표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 결과 감각통합중재는 4세 이하와 5-6세인 학령기 이전 아동 연령대에서 효과크기가 매우 높았으며, 진단명과 관련하여 자폐성장애, 중도중복장애,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갖는 아동, 뇌성마비, 발달지체 등 대부분의 장애영역에서 매우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둘째, 감각통합중재 구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중재회기가 10회기 미만이거나, 16-20회기, 21회기 이상일 경우 매우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고, 연구설계 유형에서는 ABA 설계를 제외한 모든 설계 유형에서 효과크기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PND는 행동, 구강, 감각처리, 작업수행, 운동, 학업(기초학업기술) 모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산출되었는데, 이는 국내 감각통합중재가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중재목표 달성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의 증거기반 실제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세부 요소를 검토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에 따른 후속연구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sensory integration(SI) intervention as evidence-based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components of the SI-intervention, targeting the preceding studies conducted as a single subject study in the domestic SI-intervention. Method: From 2000 to 2019, when SI-intervention began to be activated in Korea, 24 single subject studies on SI-intervention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These studies were collectively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methodology of each variable. The effect size was classified into the subject and the intervention composition variables, and calculated and analyzed as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and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 indicators. Result: First, the SI-intervention was very highly effective in the before-school age group of children. It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most areas of disability, including autism, severe disabilities,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when the intervention involved less than 10, 16-20, or more than 21 sessions. In the study design type, the effect size was very high in all designs except the ABA design. The effect size PND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was calculated to be effective in behavior, oral cavity, sensory processing, work performance, exercise, and study (basic academic skills), which meant that domestic SI-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achiev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 goals of the children. Conclusion: Detailed factors to improve the evidence-based actual level were reviewed an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6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1.02.37.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