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밴드를 활용한 감성 반응형 인터랙티브 VR 영화의 연구
현재 가상현실 콘텐츠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작하고 있으며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구조를 접목한 형태의 가상현실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콘텐츠들은 가상현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디바이스와 센서 기반의 신체적 상호작용,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감성적 상호작용 그리고 사용자들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소셜 상호작용의 세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중 감성적 상호작용은 아직 시간과 비용 그리고 연구의 어려움 때문에 아직 상용화가 느린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0; no. 4; pp. 707 - 71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4.707 |
Cover
Summary: | 현재 가상현실 콘텐츠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작하고 있으며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구조를 접목한 형태의 가상현실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콘텐츠들은 가상현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디바이스와 센서 기반의 신체적 상호작용,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감성적 상호작용 그리고 사용자들의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소셜 상호작용의 세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중 감성적 상호작용은 아직 시간과 비용 그리고 연구의 어려움 때문에 아직 상용화가 느린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성 반응형 인터랙티브 VR 영화 ‘시선’ 제작 사례를 통해 웨어러블 밴드를 활용한 가상현실 인터랙티브 영화에서의 감성적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유저스터디를 통해 가상현실 공간에서의 1차원적인 신체적 상호작용 외에도 감성적 상호작용을 통한 관객의 감성적 몰입의 효용성을 살펴보았다. Current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rket is growing rapidly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being developed with the interactive storytelling structure. In this study, virtual reality content was analyzed based on interactivity tha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There are physical interaction based on device and sensor technology, emotional interaction based on the user's emotional state, and social interaction based on the user's social relationships. Emotional interactions among them are still slow to commercialize due to time, cost and the difficulties of research.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interaction in virtual reality interactive content using wearable bands through the production case of the emotional reactive VR film 'Gaze'. In addition, user studies were conducted that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immersion in the audience through emotional interaction. KCI Citation Count: 6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9.20.4.707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4.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