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지열에너지 보급 확산 서비스 개발에 관한 고찰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공되고 지열에너지 관련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추가하고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열에너지 설비에 대한 세부설정이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와 차별화 될 수 있도록 지중열교환기 용량 계산을 통해 지열정 산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일반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지열에너지 사업자도 기초설계단계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적용하던 평균 기온 값 사용을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시간별 기온데이터로 변경하여 건물부하 계산의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선형모델로 계산하거나...
Saved in:
Published in | 설비공학 논문집, 31(7) Vol. 31; no. 7; pp. 302 - 31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설비공학회
01.07.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19.31.7.302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공되고 지열에너지 관련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추가하고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열에너지 설비에 대한 세부설정이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와 차별화 될 수 있도록 지중열교환기 용량 계산을 통해 지열정 산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일반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지열에너지 사업자도 기초설계단계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적용하던 평균 기온 값 사용을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시간별 기온데이터로 변경하여 건물부하 계산의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선형모델로 계산하거나 최대부하값 만을 활용한 계산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다항함수를 활용한 건물부하 예측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지열에너지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있어 활용할 수 있는 수문지질 정보를 활용하여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환경인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안하여 지열에너지 시스템이 설치될 위치의 환경정보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국가에서 제공하는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적용하여 기초설계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지열에너지 시스템을 적용하려는 일반인과 사업자 모두 시간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의 부담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통합하여 제공되지 않고 서로 다른 서비스에 산재되어 있는 건축물, 수문지질 등의 정보를 취합하여 하나의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이를 활용한 지중열교환기 계산 결과를 예측식을 통해 확인하여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치 가능성 판단에 대한 복잡한 전문 지식 및 데이터 기술 없이 실용성과 사업성을 확인할 수 있어 지열에너지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연간건물부하 계산 방법을 개선하여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정확도를 발전시키고, 수문지질 정보에 따라 설치 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객관적인 판단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의 관리와 계측이 기관이나 지역마다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도 편차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비공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공개하거나 부족한 정보를 위한 실측 및 연구를 진행하여 안정적인 품질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데이터 관련 연구 및 정책이 시행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national policy trends have focused on new markets and new industries. Thus, full support for industr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tinues. Renewable energy is one the products with most attention in the new industry. The demand for renewable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in the future as renewable energy support is increasing and policies are steadily progressing. However, it is notable that the technologies and services needed to promot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re not readily available. It would be easier supplying renewable energy by using services that provide information through automatic processes that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such as building load calculation and geothermal heat exchanger capacity calcul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geothermal energy system installation possibility consulting service for activation of geothermal energy facilities which can save energy compared to the installed area of domestic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points. The of use data has improved both 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by adopting open data, and suggested the ability to confirm the environment in which facilities can be installed by utilizing hydrological geology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installing geothermal energy system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journal.auric.kr/kjacr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19.31.7.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