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기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중, 고등학생 총 225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랩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일상적 스트레스는 자기통제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SNS 중독경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일상적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자기통제력의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8; no. 3; pp. 153 - 159
Main Authors 고정아(Jung A Ko), 김지영(Ji Young Kim), 김혜영(Hye Yo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09.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기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중, 고등학생 총 225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랩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일상적 스트레스는 자기통제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SNS 중독경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일상적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자기통제력의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 스트레스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자기통제력에 초점을 둔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online social networking addiction of adolescents. Methods: The daily stress scale, online social networking addiction scale, and self-control scale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25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daily stress, self-control, and online social networking addiction. Daily stres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line social networking addiction. In contrast, self-control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ily stress.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trol and daily stress played a more prominent role in protecting against online social networking addiction in adolescents who reported lower daily stress than those who reported higher daily stres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ositive aspects of selfcontrol to adolescents who have difficulty managing their online social networking addiction. KCI Citation Count: 5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0.28.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