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시장화와 도시계획행정의 변화

북한 도시의 동태변화에 대한 이해는 향후 북한도시의 진화과정을 예측하고 통일을대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북한 도시의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전면적인시장경제화 혹은 통일국면에서의 북한 도시변화를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사회주의 국가의 도시가 시장경제를 수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변화에 대해서 이미 ‘탈사회주의 도시(post-socialist cities)’라는 이름으로 연구된 바 있다(Musil, 1993; Hirt, 2013; Petrovic, 2005; Sheppard, 2000; Stani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52; no. 7; pp. 55 - 71
Main Authors 박세훈(Park, Se Hoon), 송지은(Song, Ji E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1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7.12.52.7.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북한 도시의 동태변화에 대한 이해는 향후 북한도시의 진화과정을 예측하고 통일을대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북한 도시의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전면적인시장경제화 혹은 통일국면에서의 북한 도시변화를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사회주의 국가의 도시가 시장경제를 수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변화에 대해서 이미 ‘탈사회주의 도시(post-socialist cities)’라는 이름으로 연구된 바 있다(Musil, 1993; Hirt, 2013; Petrovic, 2005; Sheppard, 2000; Stanilov, 2007). 이러한 연구와비교해 본다면 북한 도시가 현재 어떠한 변화과정에 있으며 향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가늠할 수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은 향후 통일 국면에서우리가 북한의 도시를 개선하고 북한 주민의 삶의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how ‘marketization’ since 1990s has transformed urban planning practices and what it implies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in North Korea. Today, North Korea experiences an enormous socio-economic change triggered by marketization, the shift from socialist planned economy to market based economy, and this change is significantly altering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n North Korean defectors, this paper takes a look at changes in central-local government relationship and public-private relationship in planning. First, it is found that the centralized planning system has been eroded, and local actors have gained initiative in planning. Second, the ‘informal public-private partnership’ has emerged as a new way of planning practice where bureaucrats and private actors collaborate in a formal and informal way and share profit from urban development. Last but not least, the pro-market planning practices consequently has propelled ‘post-socialist’ urban transformation causing an expansion of commercial land use and residential segregation. However, albeit all this changes, it is too early to say that this means fundamental transition toward market economy, due to the unstable character of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KCI Citation Count: 5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7.12.5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