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서부 지역의 논을 이용하는 조류상

쌀은 과거부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가장 중요한 작물이며, 벼가 재배되는 논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논 면적이 넓게 분포하여 다양한 조류가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논 이용 조류상에 관한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서부 지역의 논에서 관찰된 조류상의 현황을 정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중서부 지역의 61개 지점의 논에서 휴식 및 취식 중인 조류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44과 144종의 조류가 논을 이용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류학회지 Vol. 27; no. 2; pp. 107 - 115
Main Authors 손석준(Seok-Jun Son), 최그린(Green Choi), 도민석(Min-Seock Do), 남형규(Hyung-Kyu Na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류학회 01.12.2020
한국조류학회II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179
2586-6893
DOI10.30980/kjo.2020.12.27.2.1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쌀은 과거부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가장 중요한 작물이며, 벼가 재배되는 논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논 면적이 넓게 분포하여 다양한 조류가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논 이용 조류상에 관한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서부 지역의 논에서 관찰된 조류상의 현황을 정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중서부 지역의 61개 지점의 논에서 휴식 및 취식 중인 조류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44과 144종의 조류가 논을 이용하였다. 그 중 오리과가 가장 많았으며(14%), 그 다음으로 도요과, 백로과, 수리과, 멧새과, 할미새과, 까마귀과, 되새과 등의 순이었다. 논 이용 조류 144종 중 도래시기에 따른 논 이용 조류는 벼 재배기에 33%, 비재배기에 40%, 재배기와 비재배기 모두 관찰된 종은 27%이었다. 또한 관찰된 조류 중 멸종위기종은 약 34.9%이며, 천연기념물 조류는 약 41.3%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중서부 지역 논에 도래하는 조류 군집의 정보 및 특성을 파악하여 서식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논 이용 조류 현황 조사가 필요하고, 나아가 논의 생태적 특성과 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Rice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crop in terms of past effects on global land use a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Although South Korea is know to have a wide range of rice fields and used by various bird species, the actual information on avifauna using rice filed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avifauna observed in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is summariz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to be grasped. From 2013 to 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birds resting and feeding in 61 survey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and a total of 44 families and 144 species of birds used the rice fields. Anatidae was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Scolopacidae, Ardeidae, Accipitridae, Emberizidae, Motacillidae, Corvidae, Fringillidae. Among the 144 species of birds used in rice fields, birds used in rice fields according to season were 33% during growing season, 40% during non-growing season, and 27% in all season. In addition, about 34.9% of the birds observed were endangered species, and about 41.3% were natural monuments. In this study,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in the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were identified and the function as a habitat was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various areas and study the ecological charateristics of rice field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30980/kjo.2020.12.27.2.107
ISSN:1225-9179
2586-6893
DOI:10.30980/kjo.2020.12.27.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