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인프라 도보 거점 배치 모델 구축과 평가 : 서울시 도봉구를 대상으로

세계 주요 도시들은 기후변화 대응과 일상 생활권 중심의 지역활성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 근거리 서비스에 기반한 도시 및 교통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Bronwyn, 2020; 이수진·허동숙, 2021). 포틀랜드와 멜버른의 ‘20분 도시’, 파리의 ‘15분 도시’, 싱가포르의 ‘20분 마을, 45분 도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도시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시설까지 도보-자전거-대중교통을 통해15-20분 내외로 접근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도보와 자전거를 가장 중요한 이동 수단으로 전제하였다. 생활인프라 이용환경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56; no. 4; pp. 74 - 87
Main Authors 송혜승(Song, Hyeseung), 엄선용(Eom, Suny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8.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1.08.56.4.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세계 주요 도시들은 기후변화 대응과 일상 생활권 중심의 지역활성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 근거리 서비스에 기반한 도시 및 교통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Bronwyn, 2020; 이수진·허동숙, 2021). 포틀랜드와 멜버른의 ‘20분 도시’, 파리의 ‘15분 도시’, 싱가포르의 ‘20분 마을, 45분 도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도시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시설까지 도보-자전거-대중교통을 통해15-20분 내외로 접근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도보와 자전거를 가장 중요한 이동 수단으로 전제하였다. 생활인프라 이용환경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에 대한 최근 연구, 사회적 논의, 국내외 주요 도시의 정책을 살펴본 결과 생활 편의성 제고, 서비스 취약지역 해소, 인구감소·고령화와 지방정부 재정 여건 고려, 지역(마을) 단위 활성화, 기후변화 대응, 감염병 확산 방지 등과 같이 도시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를 고려하여 생활인프라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활인프라 계획 시 지역 간 형평성을 확보하면서도 지역 사회 문제에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형평성을 고려하되, 지역사회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활인프라 도보 거점 배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pplying living infrastructure constitutes an essential issue in urban planning. I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living territory of people. Several cities across the world have announced urban planning strategies to use living infrastructure in the scope of their daily activities to cope with social problems and promote regional revitalization. However, in Korea, supply policies individually consider the various types of facilities while focusing on local equity. This hinders the use of multiple types of facilities on a trip as well a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acilities by the public sector to cope with future changes and social proble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munity walking core allocation model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and addresses social change. First, this study evaluates the current convenience of using facilities in Dobong-gu regarding the walking time and possibility of using multiple types of facilities. Second, this study develops the community walking core allocation model that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community walking core and necessary facilities and applies it to Dobong-gu. Third,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iency of the model compared to the current supply policy. In doing so, this study contributes to evidence-based social infrastructure planning, the response to social problems, and regional revitalization.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1.08.56.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