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실습 및 실무교육의 평가가 전공만족과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광분야에서 전공능력을 전문화하고 인재 육성을 위해 맞춤형 실무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실무교육이 전공만족도 및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광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관광분야의 실무교육 평가요인(교과과정의 체계성․교과과정의 적절성․물리적 환경․교육자 전문성)이 관광전공자들의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관광전공자들의 전공만족도가 직업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32; no. 9; pp. 1653 - 1670
Main Authors 김대희(Dae-Hee Kim), 김병국(Byung-Gook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9.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관광분야에서 전공능력을 전문화하고 인재 육성을 위해 맞춤형 실무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실무교육이 전공만족도 및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광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관광분야의 실무교육 평가요인(교과과정의 체계성․교과과정의 적절성․물리적 환경․교육자 전문성)이 관광전공자들의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관광전공자들의 전공만족도가 직업존중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관광전공자들의 실무교육 평가요인과 전공만족도 및 직업존중감 사이에 구조적인 관련성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전공자들의 전공만족을 보다 충족시키기위해서는 교과과정 내용이 더욱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둘째, 관광분야 직업에 대한 인식수준을 제고시키기위해 고용안정성, 급여만족도, 발전가능성 등 관광분야 잠재종사자들의 인식을 변화하기 위한 다양한 계층의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내실 있는 교과과정, 수준높은 교육환경 및 교육자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관광전공자의 직업존중감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관광분야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심층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관광전공자들과 일대일 면접또는 관찰 등과 같은 질적 접근법도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며, 관광실무교육 평가요인 이외에도 관광전공자들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들을 파악하는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관광전공자들의 실무교육과 전공만족도 사이에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관광분야 교육과정을 담당하는 실무자에게 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education in tourism, major satisfaction, and job-esteem. The survey was undertaken for two weeks period during April in 2016. Two hundred thirty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procedures. Results from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ractical education in tourism and tourism major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ajor satisfaction and job-esteem. Finally, practical education in tourism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ajor satisfaction and job-esteem. Som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ould be more important for tourism major respondents to learn practical curriculum contents. Second, it may be essential to change potential workers' perceptions within the context of tourism through employment stability, satisfied salary,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Future study may need to focus on qualitative approaches(i.e., interview or observation) to obtain the detailed data for improving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in tourism. Tourism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contents for enhancing tourism education. Tourism researchers are necessary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factors that affecting tourism major satisfaction through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19.32.9.1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