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간압연률이 다른 STS316L의 침지 특성
본 연구는 오스테나이트 STS316L강을 0, 17 33, 50, 67 및 80%로 냉간압연하여, 냉간가공량에 따르는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산성 용액은 FeCl2 + HCl 수용액이고, 알칼리성 용액은 NaO2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무게 변화는 2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피팅 발생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체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피팅 부분은 line profile하여, 성분을 분석하였다. 오스테나이트는 냉간압연률이 많을수록 -마르텐사이트 및 -마르텐사이트로 많이 변태하였다. 부식은 Cl-이온이 존재하는 산성 용액에서 발생하였으며, 냉...
Saved in:
Published in | 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 24; no. 3; pp. 90 - 97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동력기계공학회
01.06.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8429 2713-8437 |
DOI | 10.9726/kspse.2020.24.3.090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오스테나이트 STS316L강을 0, 17 33, 50, 67 및 80%로 냉간압연하여, 냉간가공량에 따르는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산성 용액은 FeCl2 + HCl 수용액이고, 알칼리성 용액은 NaO2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무게 변화는 2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피팅 발생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체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피팅 부분은 line profile하여, 성분을 분석하였다. 오스테나이트는 냉간압연률이 많을수록 -마르텐사이트 및 -마르텐사이트로 많이 변태하였다. 부식은 Cl-이온이 존재하는 산성 용액에서 발생하였으며, 냉간압연에 의하여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부식이 가속되었다. 냉간압연률이 많을수록 무게감소가 많았으나, 피팅이 빠르게 성장하여 합체로 인하여 피팅수는 작았다. 피팅부의 라인 프로파일에서 냉간압연률에 관계없이 화학 성분이 비슷하여, 피팅의 발생은 압연에 의한 부동태 피막의 파괴가 원인이다. 냉간가공에 의하여 강도는 향상하지만, 부동태 피막의 파괴로 내식성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가공 후에 내식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를 실시하여, 구조부재에 적용하면 고강도 재료로서 적용할 수 있다. Austenite STS316L steel is limited to use as a structural material due to its low yield strength. To overcome this problem, many studies have transformed into martensite by cold working. However, studies evaluating the corrosio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ld working can not be f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cold rolled austenitic STS316L steel in an acid/alkali solution. Degree of cold rolling are 0, 17, 33, 50, 67 and 80%. Austenite transforms into e-martensite and α-martensit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ld rolling. Corrosion occurred in an acid solution containing Cl- ions and accelerated by the breakdown of the passive films by cold rolling. The more degrees of cold rolling, the more weight losses; however, the number of fittings was small due to coalescence. KCI Citation Count: 3 |
---|---|
ISSN: | 2713-8429 2713-8437 |
DOI: | 10.9726/kspse.2020.24.3.0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