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티콘을 활용한 그룹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공감 능력 및 대화기능 변화에 미치는 효과

목적: 타인과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서 타인과 적절하게 소통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타인의 감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술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모티콘을 활용한 그룹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공감 능력 및 대화기능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그룹 중재를 실시하였다. 정서공감 능력은 정서를 표현한 글을 보고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정서공감 이해력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30; no. 2; pp. 9 - 20
Main Authors 한혜영(Hye Young Han), 박은실(Eun Sil Park), 신혜정(Hye Jung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4.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타인과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서 타인과 적절하게 소통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타인의 감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술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모티콘을 활용한 그룹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공감 능력 및 대화기능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그룹 중재를 실시하였다. 정서공감 능력은 정서를 표현한 글을 보고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정서공감 이해력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한 후에 자신의 정서를 이모티콘으로 표현하는 정서공감 표현력으로 평가하였다. 대화기능은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주고받은 대화를 중심으로 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대화내용 수신표현, 대화내용 구성요소, 발전된 표현 등 7가지로 분석하였다. 정서공감 능력은 사전-사후로 평가하였고, 대화기능 분석은 3회기마다 한 번씩 카카오톡 대화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대화기능의 변화정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모티콘을 활용한 그룹 중재가 학령기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공감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모티콘을 활용한 그룹 중재가 지적장애 아동의 대화기능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정서공감에 어려움이 있거나 화용능력에 문제가 있는 지적장애 아동들에게 이모티콘을 활용한 그룹 중재가 정서공감 능력과 화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청소년들이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화와 유지에도 용이하다는 장점들을 발견하게 되면서 언어중재의 도구로서 이모티콘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Proper communication with others is important in order to establish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accurately understand other's feelings and to communicate one's own feelings to others is a critical social skil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oup intervention using emoticons on the emotional empathy and conversational functions of subjects. Methods: Group arbitration was conducted on four school-ag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emotional empathy by selecting emoticons based on written emotions. After understanding other's emotions, the subjects' emotional empathy expression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with emoticons was evaluated. The conversation function was separated into seven types of conversation functions: requesting, responding, objective mentioning, subjective statements, receiving conversation content, conversation content components, and advanced expressions. Emotional empathy was evaluated pre-post intervention. The analysis of conversational functions was analyzed once every third session based on Kakao Talk conversations to examine the degree of change in conversational func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intervention using emoticon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otional empathy. Second, group intervention using emoticon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conversation function. Conclusions: It was proved that group intervention using emoticons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mpathy and pragmatic competence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with emotional or pragmatic competence problems. As teenagers use Kakao Talk application frequently, a number of advantages can be generalized and maintained, indicating that emoticons are considered effective as a tool for language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1.30.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