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식물 핑크뮬리(Muhlenbergia capillaris)의 메탄올 추출물이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외래식물인 핑크뮬리를 무분별하게 도입하여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있다. 핑크뮬리는 자생식물과 경쟁하여 국내 생태계에 언제든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외래식물인 핑크뮬리가 식물의 생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개화기의 핑크뮬리 식물을 채취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in vitro에서 seed bioassay, 온실 조건에서 토양 처리 및 경엽 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핑크뮬리 메탄올 추출물의 유채식물에 대한 뿌리 길이 및 생체중에 대한 GR...
Saved in:
Published in | Weed & turfgrass science Vol. 10; no. 3; pp. 347 - 352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09.2021
한국잔디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21.10.3.347 |
Cover
Loading…
Summary: |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외래식물인 핑크뮬리를 무분별하게 도입하여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있다. 핑크뮬리는 자생식물과 경쟁하여 국내 생태계에 언제든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외래식물인 핑크뮬리가 식물의 생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개화기의 핑크뮬리 식물을 채취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in vitro에서 seed bioassay, 온실 조건에서 토양 처리 및 경엽 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핑크뮬리 메탄올 추출물의 유채식물에 대한 뿌리 길이 및 생체중에 대한 GR50 값은 각각 4,147 및 4,997 μg mL-1 이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핑크뮬리가 타감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10 종의 식물종자가 파종된 토양에 핑크뮬리 추출물(10 kg ha-1)을 살포한 결과 어떠한 식물생장 저하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핑크뮬리 추출물(10 kg ha-1)을 식물의 경엽에 살포한 경우에도, 피에서의 미약한 피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식물에서는 생장억제나 약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외래식물인 핑크뮬리는 in vitro에서는 알렐로파시 효과를 나타내었만 in vivo에서는 다른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Pink Muhly is planted and managed for ornamental purposes by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cross the country. However, it could affect the domestic ecosystem at any time and compete with native plants due to its exotic na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ether pink muhly affects the growth of plants. We obtained the methanol extract from a fully grown pink muhly plant and executed an in vitro seed bioassay followed by soil treatment and foliage treatment experiment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 growth retardation (GR) 50 values, at which plant growth is inhibited by 50%, of methanol extract against root length and weight were 4,147 and 4,997 μg mL-1,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Pink Muhly may possess allelopathic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Pink Muhly extract (10 kg ha-1) on the soil in which ten plants were planted, did not show any adverse effect. Further, the application of the Pink Muhly extract (10 kg ha-1) to the foliage did not show any damage and inhibition of growth. Overall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exotic plant Pink Muhly showed an allelopathic effect, it might not inhibit the growth of other plan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21.10.3.3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