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직무성과: 역할모호성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공무원의 다면적 동기유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역할모호성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공공봉사동기,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 역할모호성은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는 내재적 동기의 성과영향에 있어서만 유의하였다. 내재적 동기가 강한 집단 경우에는 역할모호성이 낮아질수록, 내재적 동기가 약한 집단은 직무자율성이 높아질 수록 직무성과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적 동기가 강한 집단에게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직학회보 Vol. 17; no. 3; pp. 1 - 31
Main Authors 최규현(Choi, Kyu Hyun), 임준형(Lim, Joon H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직학회 01.10.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20.17.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공무원의 다면적 동기유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역할모호성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공공봉사동기,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 역할모호성은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는 내재적 동기의 성과영향에 있어서만 유의하였다. 내재적 동기가 강한 집단 경우에는 역할모호성이 낮아질수록, 내재적 동기가 약한 집단은 직무자율성이 높아질 수록 직무성과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적 동기가 강한 집단에게는 역할의 명료성을 강화시키고, 약한 집단에게는 직무자율성을 높이는 것이 성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공무원의 근로의욕과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sm과 같은 특정 유형의 동기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다면적 동기유형을 고려한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전략이 요구되며 직무동기의 유형별 효과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조건들을 파악하여 맞춤형 관리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diverse types of work motivation affect public officials’ job performance and how role ambiguity and job autonomy moderate these rel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survey of public officials in the Statistics Korea, a central-level government agency. The results find that job performance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autonomy and intrinsic, extrinsic, and public service motives, while negatively affected by role ambiguity. In addition, role ambiguity and job autonomy are found to negatively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intrinsic motive and job performanc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managers develop multiple motives-based strategies to improve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diversify motivation strategies, depending on contingency factors such as employees’ needs and service periods. For employees with high level of intrinsic motive, role clarity will help improve their performance, but for those with low level of intrinsic motive, strong autonomy will be effective. KCI Citation Count: 10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20.1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