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아동의 학년별 말 속도 및 비유창성 특성

배경 및 목적: 학령기 아동의 말 속도 및 비유창성 특징에 관한 연구는 학령기 말더듬 아동을 이해하고 적절한 임상적 중재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학령기 일반 아동의 학년 간 말 속도, 총 비유창성 비율, 비유창성 형태별 비율을 비교하여, 학년에 따른 말 속도와 비유창성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 243명을 대상으로 P-FA 초등학생 그림 이야기하기 검사를 이용하여 구어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구어 표본은 학년에 따른 말 속도, 총 비유창성 비율, 비유창성 형태별 비율의 차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4; no. 1; pp. 113 - 121
Main Authors 문지은(Ji Eun Moon), 권도하(Do Ha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5.24.1.00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 학령기 아동의 말 속도 및 비유창성 특징에 관한 연구는 학령기 말더듬 아동을 이해하고 적절한 임상적 중재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학령기 일반 아동의 학년 간 말 속도, 총 비유창성 비율, 비유창성 형태별 비율을 비교하여, 학년에 따른 말 속도와 비유창성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 243명을 대상으로 P-FA 초등학생 그림 이야기하기 검사를 이용하여 구어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구어 표본은 학년에 따른 말 속도, 총 비유창성 비율, 비유창성 형태별 비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년이 높아질수록 말 속도가 빨라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총 비유창성 비율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학년에 따른 비유창성 형태별 비율에서 모든 학년에서 수정의 비율이 30%이상으로 다른 비유창성 형태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삽입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용 비율이 높아지고, 단어부분반복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용 비율이 낮아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첫째, 학년이 높아질수록 말하는 속도가 빨라지며, 특히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말 속도는 성인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령기 아동은 학년과 상관없이 어느 정도의 비유창성을 산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정은 구어에 대한 자기 점검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로, 대부분의 학령기 아동은 자신의 말을 점검하는 능력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다 더 복잡한 구문을 산출하는 고학년이 구문을 계획하기 위한 시간을 벌기위한 전략으로 삽입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어부분반복은 어휘의 음운적 요소의 인출이 어려울 때 나타나는 것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음운 표상 및 음운 부호화의 활성화가 안정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Purpose: The study of school-aged children's speech rates and disfluency characteristics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he diagnosis, evaluation, treatment planning, and treatment closure for school-aged children who stutter. This study compared school-aged children's speech rates, disfluency ratios and disfluency types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speech rates and disfluency characteristics based on grades. Methods: This study observed 243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elementary school picture telling examination to collect spontaneous speech data. All collected data were made as manuscripts and the speech rates, total disfluency ratio, and disfluency type ratio of all subjects were reviewed. Result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eech rates and grade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in total disfluency ratio depending on grades. Third, the ratio of revision in all grades was over 30%. Last, the ratio of interje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des, whereas the ratio of partial word repeti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rades. Conclusions: Speech rates increased with grades, in particular, children could reach adult speech rates in sixth grade. Second, regardless of grade, school-aged children produce some magnitude of disfluency. Third, revision is shown in the process of self-monitoring on speech an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jority of school-aged children have developed the ability to monitor their speech. Last,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in higher grades produce more complex speech and use interjection as a strategy to gain more time for planning speech. Partial word repetition is shown when phonological encoding of words is difficult. Thus,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partial word repetition with grade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stabilization of phonological idea and encoding as the children get older.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000939.2015.24.1.004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5.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