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VR) 기반 화학사고 대응 다중협업 훈련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화학물질로 인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사고대응 훈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대응기관에서는 주기적으로 모의 대응훈련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제 사고와 유사한 사고현장을 직접 체험하며 훈련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가운데 가상현실 기술은 실제 화학사고와 유사한 가상환경 연출로 대응요원들이 사고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대응할 수 있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고 시 대응체계와 국내‧외 화학사고 대응 훈련 사례를 바탕으로 다중협업 훈련 역할 및 구성을 도출하고 대응‧훈련 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1; no. 1; pp. 1 - 10
Main Authors 안수빈(Su-Bin An), 임경민(Kyung-Min Lim), 고하은(Ha-Eun Go), 정가영(Ga-Young Jung), 마병철(Byung-Chol M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화학물질로 인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사고대응 훈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대응기관에서는 주기적으로 모의 대응훈련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제 사고와 유사한 사고현장을 직접 체험하며 훈련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가운데 가상현실 기술은 실제 화학사고와 유사한 가상환경 연출로 대응요원들이 사고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대응할 수 있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고 시 대응체계와 국내‧외 화학사고 대응 훈련 사례를 바탕으로 다중협업 훈련 역할 및 구성을 도출하고 대응‧훈련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화학사고 대응 다중협업 훈련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훈련 콘텐츠를 적용한 훈련 시 화학사고 대응요원의 역량 강화와 협업 능력 향상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chemical accidents continue to occur, the importance of accident respond training is increasing. Accordingly, some response institutions are conducting mock response training, but it is difficult for responders to directly experience and train an accident scene similar to the actual one. In the midst of this,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emerging as a new alternative as responders can indirectly experience and respond to the accident scene by creating a virtual environment similar to a real chemical accident.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the role and composition of multi-collaboration training based on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and domestic and foreign chemical accident response training cases. In addition, by developing response and training scenarios and storyboards, contents for multi-collaboration training on chemical accident response based on virtual reality were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the training applied with such training contents will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chemical accident responders’ abil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llaboration ability. KCI Citation Count: 8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0.21.1.1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0.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