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범주에 따른 아동과 성인 말더듬집단의 말더듬 산출 비교

이 연구는 말더듬아동과 말더듬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단어 범주의 유형에 따라 내용어와 기능어에서 말더듬의 산출을 비교하여 말더듬인의 구어 메커니즘 특성이 연령에 따라 변화하는지 알아보고 CRH와 EXPLAN 모델을 발달적 관점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말더듬아동집단 15명과 말더듬성인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구어에서 언어샘플을 수집하여 단어 범주별 말더듬 빈도와 말더듬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 범주에 따른 말더듬 빈도는 두 집단 모두 기능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두 집단의 내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8; no. 3; pp. 1 - 18
Main Authors 박진원(Jin Won Park), 권도하(Do Ha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3.00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말더듬아동과 말더듬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단어 범주의 유형에 따라 내용어와 기능어에서 말더듬의 산출을 비교하여 말더듬인의 구어 메커니즘 특성이 연령에 따라 변화하는지 알아보고 CRH와 EXPLAN 모델을 발달적 관점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말더듬아동집단 15명과 말더듬성인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구어에서 언어샘플을 수집하여 단어 범주별 말더듬 빈도와 말더듬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 범주에 따른 말더듬 빈도는 두 집단 모두 기능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두 집단의 내용어와 기능어 품사별 말더듬 빈도 비교에서 내용어는 명사가 높게 산출되었고 품사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능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부사·접속부사·대명사에서 높게 산출하였다. 셋째, 말더듬 형태는 단어부분반복과 폐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결과 두 집단 사이에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말더듬인의 구어 메커니즘은 단어 범주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상 집단 별 발달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말더듬 생성에 대한 언어 계획과 실행 간의 연관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한 단어 범주별 말더듬 분석은 향후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말더듬 치료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olloquial mechanism of stutterers according to their ages and compare it in the developmental view of CRH and the EXPLAN model, by comparison of stutter output in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according to the type of word category aimed at stuttering children and stuttering adult groups. We collected unscripted colloquial word samples from a group of 15 children stutterers and 15 adult stutterers,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form of stuttering according to word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tter frequency according to word catego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unction words in both groups. Second, in comparing the stutter frequency of each part of speech to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in both groups, content words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noun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part of speech.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 words and these showed higher frequencies in adverbs, conjunction adverbs, and pronouns. Thirdly, the form of stutter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ord partial repetition and closing. The study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ategori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in the colloquial mechanism of a stutter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ord category, but no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stages of each group.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G704-000939.2009.18.3.001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