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경기장의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톨 훼스큐의 생육특성 및 투수속도

본 연구는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주요 한지형 잔디의 생육특성 및 투수속도 변화를 연중 계절별로 비교해서 잔디그라운드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처리구는 공시 초종 KB, PR 및 TF 3종류이었으며, 잔디 초종과 계절에 따라 잔디밀도, 뿌리생장, 근계발달, 대취축적 및 투수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밀도는 KB>TF>PR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KB 밀도가 가장 높은 것은 R-type의 생육형 특성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PR의 밀도가 가장 낮은 것은 하고 현상으로 인해 잔디밀도 저하가 크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ed & turfgrass science Vol. 9; no. 4; pp. 399 - 413
Main Authors 김경남(Kyoung Nam Kim), 김세은(Se E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12.2020
한국잔디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0.9.4.39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주요 한지형 잔디의 생육특성 및 투수속도 변화를 연중 계절별로 비교해서 잔디그라운드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처리구는 공시 초종 KB, PR 및 TF 3종류이었으며, 잔디 초종과 계절에 따라 잔디밀도, 뿌리생장, 근계발달, 대취축적 및 투수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밀도는 KB>TF>PR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KB 밀도가 가장 높은 것은 R-type의 생육형 특성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PR의 밀도가 가장 낮은 것은 하고 현상으로 인해 잔디밀도 저하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뿌리생장은 봄철인 5월 초순 조사 시 TF>PR>KB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여름 고온기에 뿌리생장은 하고 현상으로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6월 하순 및 10월 초순 조사 시뿌리생장 결과는 지하경이 있는 KB가 가장 양호하였다. 근계발달도 전반적으로 뿌리생장과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연중 초종별 대취축적은 11.93-14.12 mm 사이로 차이가 2.19 mm로 짧게 나타났는데, 이는 계절에 따라 초종 간 우열관계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투수속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KB>PR>TF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잔디생육 특성 및 토양공극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여름 고온기 KB의 투수속도는 PR에 비해 2.70배, 그리고TF 초종보다 5.49배 정도 더 빠르게 나타났다. 잔디생육 특성 중 – 특히 잔디생육형 및 뿌리특성이 배수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잔디밭 관리 시 초종에 따라 생육형 및 뿌리생장 패턴이 다르고, 동일한 환경 및 관리 조건에서 직근성 B-type 잔디의 투수성능이 R-type에 비해 더 빨리 저하될 수 있음으로 잔디 생육특성 및 배수기능을 연계해서효율적인 잔디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characteristics and infiltration rate in major cool-season grasses (CSG) under California soil system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sports tur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reatments were comprised of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perennial ryegrass (PR, Lolium perenne L.) and tall fescue (TF, Festuca arundinacea Schreb.).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CSG and season. Turfgrass density increased with PR<TF<KB in order. Greatest density in KB was associated with a rhizomatous-type growth habit, while lowest density in PR was considered to result from a growth habit of bunch-type and a summer drought stress. Root growth in early May was ranked with an order of TF>PR>KB, and it did not increase in summer due to summer drought. KB, however, produced greatest root growth in late June and early October. Evaluation on rooting development showed the similar results as root growth. Overall thatch accumulation ranged from 11.93 to 14.12 mm, being 2.19 mm in differences among CSGs. This resulted from inconsistent, seasonal raking among turfgrass entries. Infiltration rate was greatest in order of KB>PR>TF, regardless of season. It was highly related to turfgrass growth-type and soil pore. There were consistent responses to growth characteristics, being greatest in May and lowest in early October. Growth habit and rooting characteristics had a great effect on drainage capacity. Shoot-growth type and root growth pattern are variable with turfgrasses. Water infiltration rate more easily decreased with a B-type TF and PR as compared with an R-type KB.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0.9.4.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