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평생학습도시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 과제와 정책: G구 성인학습자 요구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자치구 평생학습도시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방향, 인식 및 요구분석을 통해 자치구 평생교육의 과제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S시 G구의 성인학습자와 평생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해관계자 간 평생교육 비전, 목적, 추진목표의 현재 달성도에 차이가 있었고,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결과, 프로그램 우선순위는 이해관계자 모두 ‘직업.경력 관련 프로그램’과 ‘사회참여.환원 관련 프로그램’ 순으로 우선순위를 보였으며, 셋째, 자치구 평...
Saved in:
Published in | 평생학습사회 Vol. 18; no. 1; pp. 36 - 6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02.2022
미래원격교육연구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22.2.18.1.36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자치구 평생학습도시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방향, 인식 및 요구분석을 통해 자치구 평생교육의 과제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S시 G구의 성인학습자와 평생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해관계자 간 평생교육 비전, 목적, 추진목표의 현재 달성도에 차이가 있었고,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결과, 프로그램 우선순위는 이해관계자 모두 ‘직업.경력 관련 프로그램’과 ‘사회참여.환원 관련 프로그램’ 순으로 우선순위를 보였으며, 셋째, 자치구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 과제와 요구에서 성인학습자는 구민주도 평생학습을 위해 개인의 배움이 자치구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원체계와 지역주민이 공감할 수있는 운영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평생교육 관계자는 기존의 고착화된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평생교육 전략 수립의 필요성에 대한요구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생학습도시의 실현을 위한 평생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perception and requirement of lifelong education in autonomous districts to realize lifelong learning cities. To this end, a survey and FGI were conducted on adult learners and lifelong education officials in district G,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urrent level of achievement of lifelong education vision, objectives and objectives among stakeholders. Secon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priority of the programs was given to all stakeholders in the order of ‘Job-related career development program’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program’. Third, in order to realize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of autonomous district, adult learners emphasized the need for a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 learning to lead to the growth of autonomous district. In addition, lifelong education officials are demanding that a new lifelong education strategy be established beyond the established managemen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lifelong learning cities.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1738-0057 2671-8332 |
DOI: | 10.26857/JLLS.2022.2.18.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