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협력 경험과 지원요구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협력 경험과 이에 대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는 공립유치원에서 완전통합학급을 3년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일반유아교사 및 유아특수교사 각각 2명, 총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면담자료를 전사하였다. 이를 유목화한 자료를 통해 협력의 경험에서는 2개의 상위범주, 5개의 하위범주, 30개의 주요 내용과 지원요구에 대해서는 1개의 상위범주, 2개의 하위범주, 15개의 주요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37; no. 1; pp. 145 - 183
Main Authors 정영아(Jeong Yeong Ah), 이병인(Lee Byoung 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2.2021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협력 경험과 이에 대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는 공립유치원에서 완전통합학급을 3년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일반유아교사 및 유아특수교사 각각 2명, 총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면담자료를 전사하였다. 이를 유목화한 자료를 통해 협력의 경험에서는 2개의 상위범주, 5개의 하위범주, 30개의 주요 내용과 지원요구에 대해서는 1개의 상위범주, 2개의 하위범주, 15개의 주요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는 완전통합학급을 함께 운영하며 처음에는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낯설고 불안한 정서를 경험하였으나 양측 교사가 함께 협력을 하는 과정을 통해 점점 하나가 되어가는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또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는 협력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고 보다 효과적인 완전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더 많은 서로의 노력과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협력 경험과 지원요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협력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and necessary supports by analyzing in-depth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at public kindergartens. Metho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 tw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two general education teachers – were conducted. They had all experienced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at public kindergartens for three years or more. Through the transcribed and nomadic data of the interview data, 2 upper categories, 5 lower categories, and 30 main contents about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and 1 upper categories, 2 lower categories, and 15 main contents about the necessary supports were derived. Resul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mplemented a full inclusive classroom together, and at first they experienced an unfamiliar and uneasy emotions about full inclusive education, but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y gradually became ‘one’.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they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tried to solve them through various ways, and recognized that teachers' efforts and appropriate supports were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Conclusion: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prepare the direction and supports for future full inclusive classroom of public kindergartens by looking at the collaborativ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the implementation of full inclusive classroom at public kindergartens. KCI Citation Count: 9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1.02.37.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