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학대범죄의 형사법적 쟁점과 개선방안
이 글에서는 장애인학대범죄의 개념, 구성요건, 법정형 등 장애인학대 범죄의 형사법적 쟁점을 살핀 후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장애인학대범죄 에는 형법상 학대죄가 적용되어 처벌되기도 하였는데, 형법상 학대죄는 그 적용범위가 포괄적이기는 하나 그 주체가 보호, 감독자로 한정되고, 학대의 수준이 생명, 신체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정도에 이를 것을 요 하며 법정형이 획일적으로 낮게 정하여져 있다는 등의 한계를 갖는다. 이 후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학대를 금지하는 규정이 도입되면서 장애인학 대의 개념이 세분화되었고, 이러한 금지행위를 위반하는...
Saved in:
Published in | 법학연구 Vol. 32; no. 1; pp. 191 - 24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01.02.2021
법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2699 2671-8553 |
DOI | 10.33982/clr.2021.02.28.1.191 |
Cover
Summary: | 이 글에서는 장애인학대범죄의 개념, 구성요건, 법정형 등 장애인학대 범죄의 형사법적 쟁점을 살핀 후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장애인학대범죄 에는 형법상 학대죄가 적용되어 처벌되기도 하였는데, 형법상 학대죄는 그 적용범위가 포괄적이기는 하나 그 주체가 보호, 감독자로 한정되고, 학대의 수준이 생명, 신체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정도에 이를 것을 요 하며 법정형이 획일적으로 낮게 정하여져 있다는 등의 한계를 갖는다. 이 후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학대를 금지하는 규정이 도입되면서 장애인학 대의 개념이 세분화되었고, 이러한 금지행위를 위반하는 자를 다양한 법 정형으로 처벌하는 규정이 도입되었다.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학대범죄 는 신고의무의 범위와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개입권한의 범위를 확정하 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구체적인 죄명을 열거하는 방식으로 입법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최근에 도입된 장애인학대관 련범죄 개념이 사실상 대부분 장애인학대범죄와 겹친다고 보아야 할 것 이나, 명확한 해결을 위해서는 장애인학대범죄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법개정이 필요하다. 장애인 성폭력 유형이 다양함에도 획일적인 같은 법 정형으로 처벌하는 것은 문제이다. 장애인 성희롱, 정서적 학대 등은 기 존에 처벌되지 않던 행위를 새롭게 처벌하거나 그 처벌범위를 확장한 것 이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다양하게 수집하여 그 구성요건 을 소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에 대한 노동력 착취, 경제적 착취 형태의 장애인학대범죄의 심각성을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요건에 대한 입법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riminal law issues of the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uch as the concept, requirements and the punishment of crimes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s ways to improve them. The crimes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punished by applying the crime of abuse under the Criminal Act, but this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lthough the scope of abuse is comprehensive under the Criminal Act, the subject of the crime is limited to those who protect and supervise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level of abuse is required to reach a level that poses a risk to life and physical safety, and the statutory sentence is uniformly set very low. Subsequently, the concept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subdivided with the introduction of provisions prohibiting the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AWPD). Under AWPD, crimes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used as a concept to determine the scope of the reporting obliga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to intervene of the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ut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legislated by listing specific crime names. The recently introduced concept of crimes related to the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ubstantially overlaps with crimes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ut for a clear solution, an amendment that specifically defines the crimes of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needed. Despite the various types of 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a problem to punish them with the same uniform sentence. Since sexual harassment and emotional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newly punished or the scope of related punishment is expand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analyze various specific cases. There is a need to attempt to legislate on new criminal requirements that can cover the seriousness of the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form of labor and economic exploit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2699 2671-8553 |
DOI: | 10.33982/clr.2021.02.28.1.1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