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대구시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학생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16명씩 선정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및 아침 활동 시간에 정착교수를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설정, 사전 검사,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 실시, 사후검사의 전 과정은 2017년 6월 8일부터 7월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3; no. 2; pp. 1 - 2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2.2018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8.02.33.2.1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대구시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학생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16명씩 선정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및 아침 활동 시간에 정착교수를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설정, 사전 검사,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 실시, 사후검사의 전 과정은 2017년 6월 8일부터 7월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영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가 비장애 초등학생들이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에 변화에 있어 인식적 측면의 변화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실험집단 학생들이 영 상 동화를 활용한 정착교수를 받는 동안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형성된 것이 아니 다. 오히려 여러 가지 장애를 가진 장애학생을 영상 동화로 접하면서 각 장애에 대한 정보 수준이 높아 져 장애 학생들의 장애 특징에 초점을 둔 응답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행동적 측면에는 영상 동화를 활 용한 정착교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보 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이해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 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using animation and the change in non-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of acceptance towards disabled students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2 elementary and 5 elementary students in Daegu Cit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of 16 students were selected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ettled in class time. The study procedure consisted of setting up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test, implementation of settling profession using video assimilation, and the whole process of post - test from June 8, 2017 to July 14, 2017.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ognitive aspe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ble-bodied elementary school a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is doesn’t indicate if anchored instruction using animation formed a negative perception toward disabled students. Ra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y itself focused on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was due to the increased level of information about each disability while recognizing various disabilities from the animation. Second, in the behavioral aspec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anchored instruc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more so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take part in this program. Conclusion: Base on results, several ways to students’ attitude of acceptance towards disabled students in general school settings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18.02.3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