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식문화 확산을 위한 문화예술콘텐츠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

웹을 통해 한국음식과 관련한 정보를 검색하면 주로 일반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적 취향에 대응되는 정보를 찾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우 검색자는 개별적인 경험을 토대로 기술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찾게 되고, 이를 자신의 취향에 적용될 수 있는 정보로 선별하거나, 검색 목적에 대응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적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음식 문화에 대한 정보를 개인적 취향에 대응될 수 있는 정보로 전달하고, 보다 많은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화 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1; no. 6; pp. 1049 - 1058
Main Authors 장안라(AnNa Jang), 전지윤(JiYoon Ch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6.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0.21.6.104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웹을 통해 한국음식과 관련한 정보를 검색하면 주로 일반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적 취향에 대응되는 정보를 찾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우 검색자는 개별적인 경험을 토대로 기술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찾게 되고, 이를 자신의 취향에 적용될 수 있는 정보로 선별하거나, 검색 목적에 대응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적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음식 문화에 대한 정보를 개인적 취향에 대응될 수 있는 정보로 전달하고, 보다 많은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화 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실제로 경험하지 못한 미각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한국음식이 가지는 색감, 색이 가지는 감성적 뉘앙스를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 <Korean Dishes>를 설계하였다. 한국음식이 가지는 감성언어를 통해 주관적 취향에 대응될 수 있는 음식정보를 제공하여, 천편일률적인 정보의 홍수에서 이와 같은 시도가 한국음식문화를 알리는 정보가 획일성이 아닌 다양성의 예로 제시되길 기대한다. Searching for Korean food information on the web usually conveys general content. There is a limit to fin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ersonal taste. In this case, the searcher additionally searches for the described in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select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one's taste or to obtai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earch purpo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liver information on Korean food culture as information that can be adapted to personal tastes. In addition, we are trying to find a design method to contentize so that many users can utilize it. Digitize taste information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In addition, we designed <Korean Dishes>, a content that can transmit information based on the color sense of Korean food and the emotional nuances of color. By providing food information that can respond to subjective tastes through the color adjectives of Korean food, such attempts are expected to be presented as examples of diversity rather than a one-size-fits-all approach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nformation is overflowing.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0.21.6.1049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0.21.6.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