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래가 참여하는 마음읽기 접근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아스퍼거 장애아동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결함을 보이는 아스퍼거 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또래 아동과 함께하는 마음읽기 접근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재 프로그램이 아스퍼거 장애아동의 적절한 또래관련 사회-의사소통 행동과 부적절한 사회-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마음읽기 접근 또래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은 대상아동이 실제 겪은 사회적 상황 제시, 또래 간 대화체 담화와 집단게임놀이가 포함된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중재 종료 후 유지를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3명의 대상아동...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17; no. 1; pp. 45 - 6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결함을 보이는 아스퍼거 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또래 아동과 함께하는 마음읽기 접근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재 프로그램이 아스퍼거 장애아동의 적절한 또래관련 사회-의사소통 행동과 부적절한 사회-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마음읽기 접근 또래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은 대상아동이 실제 겪은 사회적 상황 제시, 또래 간 대화체 담화와 집단게임놀이가 포함된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중재 종료 후 유지를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3명의 대상아동이 모두 중재 기간 동안 적절한 또래관련 사회-의사소통 행동이 증가하였고, 부적절한 사회-의사소통 행동이 감소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 3 주 후에도 증가된 행동과 감소된 행동이 모두 유지되었다. 따라서 마음읽기 접근을 토대로 구성한 또래참여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치료 현장 관련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peer communication program based on mind-reading approach on the peer-related social-communication behaviors and inappropriate social-communica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AS). 3 children with AS participated in this study(chronological age: 8;5, 8;6, & 9;1, respectively).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individually modified materials of social situation, the strategies of conversational dialogues and group play game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⑴ the peer-related social-communication behaviors of all three participants increased, ⑵ inappropriate social-communication behaviors of all participants decreased during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conditions. And changed behaviors were constant in maintenance condition. Conclusively, the intervention program improved the overall social-communic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AS. The issues of the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KCI Citation Count: 16 |
---|---|
Bibliography: | G704-000939.2008.17.1.001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08.17.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