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태 추출물(Seapolynol)과 Dieckol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과 포도당 및 맥아당 경구 부하 시험

감태 추출물인 seapolynol과 dieckol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혈당 강하 소재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여 보았을 때 seapolynol은 100 μg/mL의 농도에서, dieckol은 50 μM 및 100 μM의 농도에서 효과적인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db/db mouse를 이용하여 경구 포도당 및 맥아당 부하 시험을 진행하였다. 경구 포도당 부하 시험에서 seapolynol과 dieckol은 고농도 처리군에서 각각 40% 및 35%, 경구 맥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3; pp. 347 - 351
Main Authors 전희전(Hui-Jeon Jeon), 김성호(Sung Ho Kim), 이부용(Boo-Yo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3.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감태 추출물인 seapolynol과 dieckol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혈당 강하 소재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여 보았을 때 seapolynol은 100 μg/mL의 농도에서, dieckol은 50 μM 및 100 μM의 농도에서 효과적인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db/db mouse를 이용하여 경구 포도당 및 맥아당 부하 시험을 진행하였다. 경구 포도당 부하 시험에서 seapolynol과 dieckol은 고농도 처리군에서 각각 40% 및 35%, 경구 맥아당 부하 시험에서는 seapolynol과 dieckol이 각각 20% 및 35%의 유의적인 혈당 강하를 보였다. 또한, 경구 맥아당 부하 시험 시 급격히 증가하는 혈당을 억제하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섭취한 seapolynol과 dieckol이 혈당조절을 위해 장내 α-glucosidase의 활성을 저해시켜 체내 포도당 섭취를 떨어뜨림과 함께 이당류의 분해작용을 억제하여 급격한 혈당의 증가를 억제하는 작용을 할 것이라 예상한다. 따라서 seapolynol과 dieckol이 식후 혈당조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cklonia cava, a brown seaweed native to the seas of Korea and Japan, includes various polyphenolic compounds. Seapolynol and its major compound dieckol derived from Ecklonia cava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their effect as a hypoglycemic agent has not been sufficiently investigat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apolynol and dieckol on α-glucosidase inhibition,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oral maltose tolerance test (OMTT) in in vivo.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100 μg/mL seapolynol and 50 and 100 μM doses of dieckol. In addition, OGTT and OMTT of seapolynol and dieckol treated C57BL/KsJ-db/db mice were conducted. Specifically, seapolynol and dieckol were administrated at low and high doses for 6 weeks, after which glucose and maltose (1 g/kg body weight) were administrated orally following 12 h of starvation.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30, 60, 90, and 120 min after administration of glucose and maltose. Mice that received high doses of seapolynol and dieckol showed significant 40% and 35% reductions in the area under the curve of blood glucose level, respectively. Moreover, blood glucose level of seapolynol (24.9 mmol/L) and dieckol (22.3 mmol/L) high dose groups were reduced compared to control group (31.6 mmol/L) when maltose administrated after 30 m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apolynol and dieckol have the potential for use as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treatment of hyperglycemia.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18.47.3.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