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야기 글쓰기 특성
목적: 글쓰기는 문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수단이자 학습 영역의 성취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들의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 4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 10명과 이들과 학년, 지능, 어휘력을 일치시킨 비다문화 가정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들은 이야기를 다시 쓰도록 하여 총 단어 수, 총 이야기 단위 수, 완벽한 에피소드 수, 구문 복잡성, 비문율, 철자 오류율을 분석하였...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6; no. 3; pp. 1 - 1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7.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7.26.3.001 |
Cover
Summary: | 목적: 글쓰기는 문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수단이자 학습 영역의 성취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들의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 4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 10명과 이들과 학년, 지능, 어휘력을 일치시킨 비다문화 가정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들은 이야기를 다시 쓰도록 하여 총 단어 수, 총 이야기 단위 수, 완벽한 에피소드 수, 구문 복잡성, 비문율, 철자 오류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비다문화 가정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적은 양의 단어와 이야기 단위를산출하였으나 완벽한 에피소드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는 비다문화 가정 아동들과 유사한 수행을 보였다. 또한, 아동들이 산출한 문장의 구문 복잡성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문율과철자 오류율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모두에서 비다문화 가정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결론: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적은 양의 글을 산출하지만 비다문화 가정 아동들과 마찬가지로 주제와 관련된 주요 내용들을 중심으로 글을 쓰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비다문화 가정 아동들에 비해 단순한 문장만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복잡한 문장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일부 주요 정보를 누락시키는 오류와 철자 오류가 빈번하여 전반적으로 글의 정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Purpose: Writing is a means of communication using written language and the essential ability required in academic achieveme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riting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3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children were asked to write after listening to a familiar narrative story; their writings were analyzed in several aspects: total number of words, total number of story units, total of number of complete episodes, syntactic complexity, sentence errors, and spelling errors. Result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rote significantly fewer words and story units than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other h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nveyed as many complete episodes as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he syntactic complex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duced more sentences with syntactic errors, especially missing main components of sentences. In additi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de more spelling errors. Conclusions: Even thoug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duced less content when writing narrative stories, they had no problems to retrieve important information from long-term memory and reconstruct the content. However, they had difficulties to organize sentences without missing important components and in using correct spelling. These difficulties may result from deficit of monitoring skills.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http://www.ksha1990.or.kr/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7.26.3.001 |